글 : 안상현 한국천문연구원 박사

한국은행은 지난 5월 18일에 새 1만원권 지폐를 공개했다.

내년부터 사용할 새 1만원권 지폐의 인물초상은 이전과 동일한 세종대왕이지만 바탕무늬와 보조 소재가 '과학'을 주제로 많이 바뀌었다. 뒷면은 조선의 대표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가 바탕무늬로 들어갔고, 혼천시계의 일부로서 당대의 우주관을 보여주는 혼천의와 국내 최대규모의 보현산 천문대 광학천체망원경이 소재로 들어갔다. 과학자의 입장에서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보통 화폐에는 나라를 대표하는 위대한 인물과 문화적으로 중요한 대상이 들어간다. 고액권일수록 더욱 그렇다. 미국 달러화에는 국회의사당, 의회 등 주로 건물이, 영국은 인물과 관련된 삽화가, 캐나다는 물총새, 거의, 흰올빼미 등 새 도안이 들어간다. 또 일본은 엔화에 길조로 생각하는 학이나 꿩 등을 넣다가 후지산 벚꽃과 봉황상을 넣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처럼 과학유물을 지폐 도안으로 채택하는 일은 흔치 않다. 이런 경향을 생각하면 각각 국보 228호와 230호로 지정된 천상열차분야지도와 혼천시계가 화폐에 등장했다는 것은 이들이 문화적으로 가치가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1395년 조선 태조 때 고구려 천문도를 기본 자료로 사용해 만든 천문도로서 우리에게 비교적 익숙하며 건국 초 어지러운 사회 질서를 바로잡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고대 과학의 역할은 오늘날의 과학의 역할과는 또 다른 면이 있었던 것이다. 혼천시계와 혼천의도 천상열차분야지도와 비슷한 역할을 담당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무너진 왕실의 체통을 살리고 옛 제도를 복구하기 위해 조선 정부는 많은 노력을 하였다. 옛날의 천문학은 임금의 고유한 권한이자 의무였기 때문에 혼란에 빠진 사회를 안정시키자면 천문학을 정비해야 했던 것이다. 

청나라에서 들어온 서양식 역법인 시헌력을 이해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고, 천체 관측 기구도 정비하였다. 혼천시계는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된 과학 기술이었다.

조선 현종 1669년에 송이영은 중국을 통해 전래된 서양의 기계식 추시계를 보고 그 원리를 터득해 혼천시계를 만들어냈다. 똑딱똑딱 추시계가 움직이면서 매 시간마다 시간판이 돌아가고 인형이 종을 치도록 고안됐다.

태엽과 건전지가 없던 시절이기에 시계의 동력은 무거운 추가 서서히 내려오는 힘을 이용하였다. 혼천시계의 놀라운 점은,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지 않은 시대에 서양의 추시계가 발명된 지 겨우 십여 년 만에 머나먼 조선에서 정교한 장치를 구현해 냈다는 점이다.

그런데 혼천시계가 가지는 더 놀라운 사실은 당시 누구도 생각해보지 못한 독특한 발상이 들어가 있다는 것이다. 즉 시계의 작동에 맞물려 혼천의의 고리들이 회전하고, 지구의(즉 지구본)가 하루에 한 바퀴씩 도는 모습을 보여주는 일종의 시뮬레이터를 만들었다. '혼천의'라 부르는 바로 이 부분이 당시의 우주관을 상징한다고 보고 새 1만원권에 도안으로 채택된 것 같다.

혼천의에는 지구를 감싸고 있는 고리가 2개가 있는데, 각각 천구의 적도와 황도를 나타낸다. 원래 혼천의는 이 고리들을 회전시키면서 천체의 적도 좌표, 황도 좌표, 지평좌표계를 측정할 수 있는 관측 장비다. 하지만 혼천시계에서는 이를 단순화해 누구나 쉽게 대충이나마 우주의 모습을 알 수 있도록 제작됐다.

혼천시계에는 톱니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술과 세계지도가 새겨진 지구의 등 서양 천문학의 영향을 보여주는 요소들이 있기도 하다. 하지만 시계와 우주 모형의 작동을 연결시킨 발상은 세종시대의 자격루나 옥루라는 물시계들로부터 송나라와 원나라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동아시아 문명의 전통이 반영된 것이다. 즉 동서양 기술과 문화의 컨버전스로 태어난 우리 과학기술의 산물이다.

혼천시계가 만들어질 당시 정부는 혼천시계를 만들어낸 과학기술자들에게 금전적인 보상을 해 그들의 노력을 높게 평가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천상열차분야지도에 나열된 천문학자들이나 송이영과 같은 과학기술자들은 잊혀졌다.

사회의 천대 속에서도 꿋꿋하게 사회 질서 회복이라는 시대적 과업을 완수한 송이영과 같은 과학기술자들을 이제라도 새 1만원권 뒷면을 통해 역사가 제대로 평가해 주는 것은 다행이 아닌가 싶다.

* Kisti의 과학향기에서 제공하는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Kisti의 동의 없이 과학향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배포 등을 금합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