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결과, 소화기 연구 분야 학술지 'Gastroenterology' 게재

치사율이 높은 간경화증을 약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김상건 서울대 교수연구팀이 만성 간 질환(간섬유화)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간세포의 죽음을 마이크로RNA 조절로 억제하는 원리를 규명해 냈다고 5일 밝혔다.

김 교수팀은 간경화 환자에게서 간세포의 손상이 진행될수록 특정 마이크로RNA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 변화가 간섬유화와 간경화에서 세포 손상을 촉진하는 중요한 원리임을 규명했다. 특히 이 마이크로RNA가 항산화능과 항암작용에 관여하는 단백질(LKB1)을 억제하는 것도 확인했으며, 이 외에도 간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단백질(핵수용체, FXR)을 활성화하면 마이크로RNA의 양을 줄여 간 손상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결과가 간경화의 악화를 억제하는 핵수용체와 마이크로RNA 타깃을 제시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손상을 입은 간을 치료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연 획기적인 성과라고 평가하고 있다. 김상건 교수는 "서구화된 식습관, 과도한 음주, 바이러스감염과 같은 현대인의 습관과 환경이 간에 과중한 부담을 주어 간세포를 손상시키고 간섬유화 환자를 증가시키고 있으나, 아직까지 간이식을 제외한 치료법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며 "이번 성과는 간섬유화와 간경화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신기술일 뿐만 아니라, 실제 의약품 개발에 응용될 수 있어 앞으로 만성 간질환 치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소화기 연구 분야 학술지 'Gastroenterology'지 1월 18일자 온라인 속보에 게재됐다. (논문명: FXR Protects Hepatocytes form Injury by Repressing miR-199a-3p, which Increases Levels of LKB1)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