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본원+벤처생태계+소통공간=창조기지' 조성 공감대 확산
부지매입비 발목잡힌 과학벨트도 탄력 계기…"대승적 결단을"

엑스포과학공원을 창조경제 전진기지로 만들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곳에 IBS(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을 조성하자는 주장이 구체적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대전시와 중앙부처, 대덕의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유관기관, 정치권 등이 '대승적 결단'을 내릴 경우 부지매입비 문제로 발목이 잡혀 있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도 탄력을 받을 수 있고, 기초과학의 핵심 기관인 IBS 유치로 '과학기술 중심 창조경제'의 전초기지라는 상징성을 뚜렷하게 부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벤처기업과 출연연, 시민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까지 마련될 경우 명실상부한 창조경제의 거점으로 만들 수 있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21일 대덕넷이 취재한 바에 따르면, 최근 엑스포과학공원을 창조경제 전진기지로 만들어야 한다는 여론이 공감대를 넓히면서 대전시와 과학기술계간에 실행 가능한 대안에 대한 협의가 빠르게 진척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됐다. 복수의 과기계 고위 인사에 따르면 현재 가장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IBS 본원+과학비즈니스 복합공간' 조성이다. 기초과학 및 연구개발을 대표하는 IBS(기초과학연구원)와 신산업·일자리 창출을 구현할 창업생태계 공간을 엑스포과학공원에 나란히 배치해 '창조경제 중심 대덕'을 상징하는 대표 혁신클러스터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이들은 "난색을 표하던 대전시도 지역 발전과 국가 미래까지 고려한다는 대승적 차원에서 새로운 대안을 면밀히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지자체, 정치권, 유관기관, 중앙부처의 협력과 통큰 결단이 기대된다"고 입을 모았다.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엑스포과학공원 활용방안은 박근혜 정부가 최우선 국정전략으로 삼고 있는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과 함께 "대덕연구개발특구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연계해 국가 신성장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한 세부 국정과제와도 맞아 떨어져 실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현재 활용 가능한 엑스포과학공원 부지가 약 33만㎡(10만평)인 반면 부지매입비 문제로 차질을 빚고 있는 IBS 본원 건설에는 16~23만㎡(5~7만평 내외) 정도만 필요할 것으로 예상돼 현실성과 타당성을 두루 갖춘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IBS 본원은 당초 올해 말까지 실시설계를 마치고 내년 중 본공사에 들어갈 예정이었다. 하지만 MB정부가 "전액국고지원 반대, 대전시 부담"을 주장하며 올해 예산에 부지매입비를 한 푼도 반영하지 않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전체 사업일정마저 불투명해진 상태다.

이와 관련해 장순흥 KAIST 교수(전 인수위 교육과학분과 인수위원)는 지난주 열린 한 토론회에서 "대통령에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땅값은 지자체가 부담하기 어렵다, 출범 100일내에 반드시 정부가 해결해야 한다고 진언했다"고 밝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연계한 엑스포과학공원 해법찾기의 기대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오세정 IBS 원장 역시 엑스포과학공원 부지 일부를 본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오 원장은 "해외 석학들을 연구단장으로 유치해야 하는데 연구동은 고사하고 아직 본원 계획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이해시키는 게 쉽지 않다"고 말했다. 또 오 원장은 "기반 인프라가 전혀 없는 예정지 대신 주변여건이 잘 갖춰진 엑스포과학공원에 벤처공간과 IBS 본원이 자리잡으면 과학도시와 창조경제의 상징성은 물론이고 과학과 비즈니스가 동시에 이뤄져야 하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본연의 목적에도 상승효과를 일으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IBS본원과 더불어 벤처생태계 조성이 예상된다는 소식에 다른 출연연 관계자들도 큰 관심을 나타냈다. 백홍열 ADD 소장은 "국방과학 분야에서도 창조경제를 위한 민군협력과 기술개방을 적극 구상중"이라며 "대전시가 첨단국방산업을 중점육성하고 있는 만큼 엑스포과학공원에 벤처생태계 공간이 마련된다면 대전시와 ADD간의 교류협력도 더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