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이사회 열고 '대규모 조직개편안' 확정
보직수 159개→98개로 축소…부총장 업무·역할 구분 명확히

KAIST는 29일 열고 대규모 조직개편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직제규정 개정안을 의결했다.
KAIST는 29일 열고 대규모 조직개편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직제규정 개정안을 의결했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총장 강성모)가 보직자를 대폭 출이는 내용을 골자로 한 조직개편안을 확정했다.

KAIST는 29일 오전 서울 르네상스 호텔에서 열린 임시이사회에서 조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유사·중복기능을 통합하는 대규모 조직개편안이 담긴 학칙 및 직제규정 개정안을 의결했다. 조직개편안은 1일부터 적용된다.

KAIST는 "이번 개편은 강 총장의 부임과 미래창조과학부로의 소속기관 이전 등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중장기 대학발전의 기틀을 마련해 KAIST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서남표 전 총장 재임 시절 지나치게 방만해지고 비대해진 조직을 '슬림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곳곳에서 제기된 바 있다. 특히 일각에서는 일방적인 정책과 행정을 펼치고 있다는 여론과 본인에 대한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보직자리를 남발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꾸준히 나왔다.

새로운 조직개편에 따라 KAIST는 보직수를 현행 159개에서 98개로 대폭 축소했다. 빠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행정기능과 절차가 단순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 학교측의 설명이다.

대외·교학·연구·ICC 등 기존 4명의 부총장 체제는 ICC 부총장제가 폐지되면서 3명으로 줄었다. 지난 2009년 한국정보통신대(ICU)와의 통합으로 신설된 ICC 부총장은 행정기능을 교학부총장 산하로 통합됐다.

부총장의 역할과 업무 구분도 명확히 했다. 교학부총장은 학사조직과 학사지원조직을, 대외부총장은 기획·재정·국제협력을, 연구부총장은 연구·산학협력·연구원 운영을 담당한다.

과거 서 전 총장 시절에는 부총장의 역할과 업무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데다 특정 보직자의 목소리에 지나치게 힘이 실리면서 부총장 을 비롯한 보직자의 '중도 사퇴'가 잇따르기도 했다. 또 교수 및 직원 등 일부 보직자가 월권을 행사에도 이에 대한 특별한 제동장치가 없어 교수협의회 등에서는 특정 보직자의 전횡을 근절해야 한다는 주장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기도 했다.
 
또 단위조직의 직무권한도 대폭 위임하고 유사 업무기능의 부서를 통합했다. 이에 따라 ▲단과대학장급 보직을 종전 13개에서 8개로  ▲처장급을 25개에서 12개로 ▲부장급을 22개에서 3개로 ▲팀장급을 95개에서 72개로 각각 축소했다.

조직은 슬림화하면서도 대내외 구성원에 대한 서비스 조직은 강화됐다. 행정처 산하에 고객만족센터를 신설하고 고충처리 전담부서인 '옴브즈퍼슨(Ombudsperson)'을 총장실에 설치했다. 이와 함께 교수들의 학습법 개발과 보급을 지원하기 위해 '교수학습혁신센터'를 교학부총장 산하에 신설했다.

학사조직의 범위와 상·하위 조직간 구분도 명확해졌다. 학과의 신설 및 폐지 기준을 명확히 정의하고 단과대학-학부-학과-프로그램 구조로 학사조직을 분류해 6대학 2학부 33학과급으로 정비했다.

앞서 KAIST는 중장기 대학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고 미래 비전을 실현할 수 있는 조직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기관에 컨설팅을 의뢰하고 구성원을 대상으로 5회에 걸쳐 조직개편 설명회를 개최했다. 지난 22일에는 '전체 교수회의'에서 강성모 총장이 직접 이번 조직개편안을 교수들에게 설명하기도 했다.

강성모 총장은 "이번 조직개편으로 KAIST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미래형 조직을 갖추게 됐다"며 "KAIST를 세계 톱(Top)10 수준의 대학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대학운영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KAIST는 조직개편안이 이사회를 통과함에 따라 인사발령·업무시스템 개편 등의 후속조치를 이달 중 마무리할 예정이다.

지난 22일 열린 전체 교수회의에 참석해 조직개편안을 설명하고 있는 강성모 총장.
지난 22일 열린 전체 교수회의에 참석해 조직개편안을 설명하고 있는 강성모 총장.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