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계·산업계 유권자들, '20대 국회의원 당선자'에 당부

"어려운 국가경제를 극복하고 국가발전을 위해 과학자가 소신껏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일관된 지원 제도를 만들어야 합니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 K 박사)

"과학기술진흥 특별위원회를 운영해서 과학기술계 현장의 목소리를 상시 들을 수 있는 창구를 만드는 것은 어떨까요?"(한국기계연구원 S 박사)

"과학과 산업의 경쟁력 약화로 국가적 성장이 정체된 느낌을 받고 있는데 앞으로 당선자가 과학과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역할을 해줬으면 합니다."(중견기업 J 대표)

과학기술계와 산업계 유권자들은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와 국가 경쟁력 향상에 노력해 줄 것"을 20대 국회의원 300석(지역구 253석, 비례 47석)의 주인공이 된 당선자들에게 당부했다.

과학계와 산업계 유권자들은 오전 일찍부터 SNS 등에 투표 인증 사진을 올리는 등 20대 총선에 많은 관심을 표시하며 다양한 기대감을 담은 염원를 전했다.

◆ 과학계 "장기적·일관된 과학기술 정책 추진 기대"

과기계 유권자들이 가장 강조한 부분은 '지속 가능하고 일관된 과기 정책'이다. 정권이 바뀔때마다 바뀌는 과학기술정책으로는 퍼스트 무버형 연구 성과는 물론 국가의 미래 성장 동력도 찾기 어렵다는 것을 익히 경험했기 때문이다.

표준연의 J 박사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흔들리지 않고 여야 모두가 합의해 지속적이고 꾸준한 과학기술정책을 펼쳐야 한다"면서 "이벤트성, 홍보성에 치중하지 않고 한가지라도 장기적인 관점의 과학기술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역설했다. 

천문연 K 박사는 최근 정부의 인공지능 투자를 지적하며 일관된 정책을 당부했다. 그는 "최근 정부의 인공지능 투자에서 보듯이 면밀한 분석 없이 현실에 급급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아쉽다"면서 "예산은 제로섬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균형있고 일관된 과기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출연연에서 오랫동안 연구자로 근무해온 생명연 S 박사는 미래 사회 준비를 위해 과학자들이 소신있게 일할 수 있는 지속적인 정책을 제안했다. 그는 "어려운 국가경제를 극복하고 국가발전을 위해 과학자가 소신껏 연구에 몰입할수 있는 환경 조성과 지속가능한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연구분야에 일관된 지원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공계 대학 P 교수는 "국회에서 과학기술 분야에 우선순위를 마련해주길 바란다"면서 "과학계가 신분야를 개척할 수 있는 안정적 연구환경을 마련한다면 출연연 과학자들이 충분히 국가 싱크탱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계의 사기진작과 현안을 헤아릴 수 있는 국회가 되길 기대하는 주문도 다수다.

표준연 K 박사는 "지역 현안도 중요하지만, 과학계 현안이 잘 전달되기를 바란다"면서 "현재 과학기술인들은 사기가 많이 저하되어 있는데 심리적으로 사기를 북돋을 수 있는 정책이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화학연의 중견과학자인 K 박사는 "연구원은 자존심이 강한 집단인데, 지난해 임피제 등으로 처우가 낮아지고, 자존심이 많이 상한 게 사실"이라면서 "연구자들이 연구에 몰두할 수 있도록 법제도를 개선하고 연구자들의 문제도 헤아려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기계연 B 박사는 "국회에 과학기술진흥 특별위원를 운영해서 현장의 목소리를 상시로 들을수 있는 창구를 만드는 것도 좋겠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ETRI의 L 박사는 "국회의원들이 무지를 반성하고 학습해야 한다"면서 "과기계 인사들의 국회 진출이 많아져서 과학기술계를 위한 정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힘을 모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기계연 J 박사는 "관료들의 전문성 부족으로 정부 정책과 과학계의 움직임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에서 과학자들이 실질적으로 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요소들이 마련된다면 과학계와 정부와의 괴리도 좁혀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 기업 관계자들 "스타트업·연구소기업 등 산업 경쟁력 높이는 정책 추진해야"

산업계 관련 유권자들은 국가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들었다. 특히 기술과 과학기반 창업자들이 집중적으로 육성되며 국가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대덕벤처 L 기업 대표는 "전세계적인 경기 불황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극복하는 것은 새롭고 창의적인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뿐"이라면서 "당선자들이 이를 직시하고, 보수와 진보를 넘어 국가경제발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소기업 관계자는 연구소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 마련을 제안했다. 그는 "대한민국 과학기술 메카인 대덕 연구단지의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전국의 연구소기업이 200개에 달한다"면서 "기술중심의 연구소기업들이 지속적으로 탄생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PBS 제도 청산과 함께 국회 차원의 적극적인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대학생 창업 기업 M 기업 대표는 "한국이 최고가 될 수 있는 과학기반 산업의 집중적 육성과 함께 농업 분야가 수출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었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기업과 연구기관 간의 협업을 위한 장기적인 정책의 필요성도 제시됐다.

대덕벤처 T 기업 대표는 "출연연과 협업하는 기업은 연구제도 변화에 민감하다"면서 "출연연이 경직되어 있으면 기업도 따라서 경직되기 때문에 연구자들을 위한 안정적인 연구환경 조성과 함께 장기적인 정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대덕벤처 W 기업 본부장은 "국내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업인들의 체감과 생각을 같이 해야 하는 특별기관을 만들어 체크하면서 기업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서 실천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벤처기업 지원 기관 담당자 K씨는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을 당부했다. 그는 "수도권에 편중된 스타트업이 지역에서도 활성화 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펼쳐달라"면서 "정부 부처와 관계기관들이 협업을 통해 출연연과 기업의 밑거름이 되는 정책을 펼쳐주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중견기업 J 대표는 "과학과 산업의 경쟁력의 약화로 인해 국가적 성장이 정체된 느낌을 받고 있다"면서 "앞으로 당선자들이 만들어가는 국회는 과학과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역할을 해줬으면 한다"고 조언했다.

<특별 취재팀= 길애경·강민구·박성민·백승민 기자>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