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국가연구시설장비 관리·활용 실태조사 결과' 보고

지난해 국가연구시설장비 실태조사 결과 연구기관이 보유한 연구시설·장비 전담운영인력은 기관당 4.4명 수준으로 나타났다. 불용처분한 시설장비는 1034점으로 절반은 폐기하고 나머지는 매각이나 재활용, 이전했다. 장비 공동활용은 수도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지난 27일 '제20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서 국가연구시설장비 관리·활용 실태조사 결과를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번 실태조사는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구축한 국가연구시설·장비를 보유한 370개 비영리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국가연구시설장비 관리 등의 표준지침' 주요항목 및 시설장비 정책 현안사항(전담운영인력, 중소기업 공동활용)에 대해 인터넷 설문방식으로 조사했다.

조사응답 연구기관 343개 중 자체장비심의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있는 연구기관은 전체의 87.8%로 나타났다. 자체장비심의위원회는 연구기관 내 시설장비의 도입, 활용, 처분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한 자체심의기구를 말한다.

연구기관의 자체 도입심의 실시대상 시설장비 1595점 중 도입심의를 실시한 시설장비는 전체의 90.2%로 집계됐다.

연구기관 내 시설장비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연구장비담당관을 지정·운영하는 연구기관은 전체의 91%(312개)였으며, 공동활용서비스 제공을 위한 대외창구(웹서비스)는 연구기관 자체시스템(171개), ZEUS(170개), e-Tube(24개), SMTECH(22개)로 나타났다.

시설장비 10대 활용실적지표에 따라 시설장비를 관리하는 연구기관은 전체의 76.4%(262개)이며, 조사대상기간 불용처분 시설장비 1417점 중 자체장비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불용처분한 시설장비는 73.0%로 집계됐다. 처분유형은 폐기(53.1%), 매각(19.3%), 재활용(18.1%), 이전(8.3%), 대여(1.7%)순이다.

실태조사에 응답한 303개 연구기관의 연구시설과 장비 전담운영 인력은 총 1348명으로 기관당 4.4명 수준이었다. 조사대상 기간 동안 전담운영인력을 신규 채용한 기관은 60개(18.9%) 기관이며, 총 138명을 신규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담운영인력의 고용형태는 정규직 61.1%(792명), 무기계약직 7.3%(95명), 계약직 31.6%(409명)이다.

조사대상 기간 동안 중소기업이 공동활용한 시설장비는 총 1485점이며, 이용건수는 4만2452건으로 장비당 평균 28.6건으로 드러났다.

중소기업의 공동활용이 많은 시설장비는 주사전자현미경, 리소그래피, 핵자기공명분광기, CNC장비, 박막형성장비, 프레스장비 순으로, 공동활용 장비는 권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으나 중소기업은 주사전자현미경, 리소그래피 등의 장비를 주로 활용하고 있었다.

권역별 장비당 공동활용 건수는 수도권이 35.1건으로 가장 많았고, 강원권과 제주권이 18.3건으로 가장 저조했다. 중소기업이 공동활용 시설장비 이용 시 겪는 애로사항으로는 지리적 접근성, 비용부담, 정보부재 등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미래부 관계자는 "연구시설장비 관리체계 확립을 위해 연구기관의 시설장비 담당자를 대상으로 '국가연구시설장비 관리에 관한 교육'을 실시 중"이라며 "2016년 하반기에는 유관단체와 합동으로 연구시설장비 현장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연구시설장비 전담운영인력의 고용환경 및 처우를 개선하고, 중소기업이 연구기관의 시설장비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선과제를 발굴해 향후 고시(오는 5월 예정)할 표준지침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