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재난학연구소, 과학기술 이용한 해양 재난안전 대책 제시
"ICT 기반 감시체계 실시간 모니터링 필요"

'재난과 사회적 책임(부제:안심사회를 향하여)' (KAIST 재난학연구소 집필)<사진=대덕넷 제공>
'재난과 사회적 책임(부제:안심사회를 향하여)' (KAIST 재난학연구소 집필)<사진=대덕넷 제공>
"재난발생 후에만 온 국민이 안타까워하며 대책을 논의하다 사고가 수습되면 다시 우리의 관점에서 사라지는 형태가 반복되면 우리는 해양재난으로부터 안전할 수 없다."(KAIST 재난학연구소)

세월호 침몰 참사는 당시 가이드라인에서 제시 받은 과적량(987톤)의 3배(3608톤)의 화물을 실어 무게중심이 높아져 복원력이 크게 악화되어 있는 상태였다. 해류가 빠른 해역에서 급격한 선회 중 평형을 잃고 기울어졌다.

배가 기울어진 상황에서 고정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던 차량과 화물은 한쪽으로 쏠렸다. 선채는 계속해서 기울어지다가 침수되기 시작했으며, 결국 전복됐다.

사건 발생 직후 배가 크게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탑승인원이 탈출할 수 있는 시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선장과 승무원의 무책임한 행동으로 수많은 인명이 희생된 것.

나양섭∙김용욱 KAIST 재난학연구소 교수는 2014년 4월 16일 오전 8시 50분에 일어난 세월호 사태와 같은 재난에 대한 대안으로 '과학기술을 이용한 해양 재난안전 대책'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해양재난이 반복되지 않도록 과학적인 기술과 장비를 개발해 예측∙대비∙예방∙대응∙복구 등 단계별로 나눠 해양재난안전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ICT기반 재난 안전 감시체계를 구축해 해양 선박 사고와 해양오염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해양교통관제 정보를 공유하고 항공기, 드론 등을 활용해 상시적으로 해양 오염과 선박 위험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설파했다. 

KAIST 재난학연구소에 따르면 해양선박 재난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파공부위 응급봉쇄 기술과 유류 유출확산을 방지하거나 수거하는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또한 해양재난 안전 대책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위한 연차적인 추진계획이 재난안전 단계에 따라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한다.

KAIST 재난학연구소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 실정과 재난 성격에 맞는 이러한 과학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가 구축되고 지속적인 교육 훈련이 이뤄짐으로써 사고 대응훈련이 생활화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KAIST 재난학연구소는 메르스와 세월호 침몰 사고 등 국내 재난 사례를 비롯해 해외 여객선∙유조선 침몰 사고 등도 구체적으로 다루며, 이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안전관리시스템을 담은 지침서 '재난과 사회적 책임(부제:안심사회를 향하여)'을 지난 4월 발행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