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비롯되는 이슈가 끊이지 않고 있다.

오래전 발생한 핵물질 분실에 이어 지난해 하반기에는 사용후핵연료봉 연구원 내 임의보관으로 시민들을 불안감에 떨게 했다. 연구자들이 핵연료 기술 개발을 위해 철저한 원칙에 따라 보관하며 연구하고 있다고 적극 해명에 나서면서 사용후핵연료봉 문제는 일단락 되는 양상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내부 연구시설을 리모델링하며 발생한 방사성폐기물을 제대로된 절차없이 외부로 임의 반출했던 사실이 알려지면서 또 다시 논란이 일고 있다.

2013년에서 2014년까지 시행된 원자력연 내 핵연료재료연구동(구 정련연구동) 리모델링 과정에서  방사성 폐기물이 발생했다. 담당 연구자는 폐기물을 처분하면서 약 0.5톤의 콘크리트 폐기물을 정해진 절차를 지키지 않고 외부로 반출했다.

원자력연에서 발생한 폐기물의 방사선 밀도는 측정 결과, 기준치 이하로 확인됐다. 폐기물 1그램당 0.05베크렐로 일반 산업폐기물과 같은 수준이라서 오염 위험은 없단다. 또 문제가 확인된 후 전량 회수해 현재 원자력연 내에 보관하고 있다는게 원자력연의 해명이다.

방사능 폐기물은 절차상 KINS(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승인 후 처리해야 한다. 방사선 밀도가 1그램(g)당 0.1베크렐(Bq) 이하의 폐기물은 자체처분  폐기물로 구분해 KINS 승인을 받으면 외부 반출이 가능하고 기준치 이상의 폐기물은 저장소에 보관된다.

국민들이 우려하는 것은 당장의 방사선 수치가 아니다.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연구 책임을 맡고 있는 기관에서 기본 원칙을 지키지 않는 안일함과 안전불감증이 두려운 것이다. 국가연구소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며 생기는 불안감이다.

하인리히 법칙에 따르면 대형사고는 수많은 작은 사고들이 연속되며 전조증상을 알린다. 국내에서 발생한 대형사고의 대부분은 하인리히 법칙처럼 자잘한 사고들이 있었지만 이를 묵과하면서 대형사고로 이어졌다. 원자력연에서 발생하는 문제도 한사람의 실수라고 변명해서는 안되는 이유다.

서울에서 대전으로 이전한지 30년이 넘는 원자력연 내 건물과 시설도 노후화되고 있다. 곳곳에서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더 많아지는 것이다.

연구자들의 상당수는 원칙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하지만 한 명이라도 안일한 인식을 갖고 있다면 문제는 어디서든 또 발생할 수 있다. 반복되면 정말 돌이킬 수 없는 대형 피해를 야기할 수도 있다.

원자력연 내부에서도 이런 연구자에 대해 내식구 감싸기보다 철저한 규명과 처벌로 안전인식을 개선하고 문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내부에서부터 처절한 개선과 변화가 있을때 국민의 신뢰도 높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인식하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