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서울시립대, 정화기술 공동 개발

Chemical Communications에 발표 된 논문 표지 그림.<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Chemical Communications에 발표 된 논문 표지 그림.<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방사성저항 미생물을 활용해 방사성폐기물을 빠른 시간에 제거할 수 있는 정화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하재주)는 전종호 생명공학연구부 박사 연구팀이 최용준 서울시립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금 나노입자가 포함된 방사성저항 미생물을 활용해 용액상에 존재하는 방사성요오드폐기물을 30분 내 99.9%이상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방사성 요오드는 원자력발전소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며 항암치료 과정에서도 많이 쓰이는 물질이다. 일반인들에게 노출될 경우 위험이 높은 방사성동위원소이기도 하다.

미생물을 활용한 금속 방사성동위원소 제거 연구는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나노기술과 미생물 공학 기술을 융합해 방사성요오드를 제염하는 방법이 개발된 것은 처음이다.

연구팀은 데이노코쿠스 라디오두란스(Deinococcus Radiodurans)라는 방사성 저항성을 가진 미생물을 활용했다. 이 미생물 내부에 요오드이온과 친화력이 높은 금 나노입자를 합성해 미생물이 용액상에 있는 방사성 요오드를 빠르게 흡착토록 했다.

전종호 박사는 "이 기술은 일반인에게 노출위험이 높은 방사성 요오드폐기물 제염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원자력발전소와 의료분야에서 활용성이 높다"면서 "향후 미생물을 활용한 폐기물 제거 공정에 대한 특허등록과 및 기술이전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영국왕립화학회가 발행하는 화학분야 학술지인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에 표지논문으로 선정돼 지난 4일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