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제3차 핵융합 에너지개발 진흥기본계획' 발표
DEMO 핵심기술 개발 가속화·인력양성·지지기반 확대 등

정부는 고성능 플라즈마 운전 능력 유지와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조달품의 적기 조달 등 한국형 핵융합전력생산실증로(DEMO) 핵심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핵융합 연구기반과 인재양성 체계를 강화키로 했다. ITER 관련 해외수주 확대와 소통으로 핵융합에너지 개발 지지기반을 확대할 방침이다.

제3차 핵융합 에너지개발 진흥기본계획(이하 3차 핵융합에너지 기본계획)이 확정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1일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정부의 핵융합에너지 연구개발 추진 방향을 담은 '제3차 핵융합 에너지개발 진흥기본계획'을 확정했다고 24일 밝혔다.

3차 핵융합에너지 기본계획은 2040년대 핵융합발전소 건설 능력 확보를 위해 ▲DEMO 핵심기술 개발 가속화 ▲핵융합 연구기반과 인재양성 체계 강화 ▲핵융합에너지 개발 지지기반 확대 등 3대 중점 전략과 8대 실천과제를 제시했다.

정부는 우선 DEMO 핵심기술 개발 가속화를 위해 KSTAR 장치 업그레이드와 세계 최장 고성능 플라즈마 운전 능력 유지(현재 70초 → 100초 이상), ITER 조달품의 적기 조달(6개 품목)과 비조달 부품(76개 품목) 관련 기술 습득, 한국형 핵융합전력생산실증로(DEMO) 개념 정립과 핵심 기술 로드맵 수립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학연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해 핵융합 연구인력의 중장기 수급을 가능케 하고 국가별 전략적 국제협력 방안도 수립해 나갈 방침이다. 또 플라즈마 복합기술연구동을 건설하고 핵융합에너지의 경제적, 사회적 파급효과를 분석해 대국민 소통도 강화할 예정이다.

ITER 이사회 한국 수석대표인 홍남기 미래부 1차관은 "핵융합에너지 발전이 실현된다면 그간 인류의 에너지 패러다임이 확 바뀔 것"이라면서 "지금까지는 천연자원을 보유한 국가가 에너지 강국이었으나, 앞으로의 핵융합에너지 시대에는 기술을 보유한 국가가 에너지 강국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2006년 핵융합에너지법을 제정하고 이후 매 5년 주기로 '핵융합에너지 기본계획'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 1차 기본계획은 핵융합에너지개발 추진기반 확립, 2차 기본계획은 KSTAR와 ITER를 활용한 핵융합 기반기술 연구개발 등을 추진해 왔다.

정부의 핵융합에너지 진흥기본 계획 이미지.<사진=미래부 제공>
정부의 핵융합에너지 진흥기본 계획 이미지.<사진=미래부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