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정섭·이태걸 표준연 박사팀, '달걀프라이 나노입자' 합성기술 내놔
"영상진단장비에 동시 적용 가능"···'ACS 나노' 게재 

달걀프라이 형태로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전자현미경 사진. <자료=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달걀프라이 형태로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전자현미경 사진. <자료=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주사 한 번으로 다양한 영상진단장비에 적용할 수 있는 '맞춤형 나노조영제' 합성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원장 박상열)은 위정섭·이태걸 나노바이오측정셍터 박사 연구팀이 반도체 제작 공정을 응용해 금 나노입자를 적층하는 합성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합성된 나노입자를 조영제로 사용해 다양한 방식의 바이오이미징(진단장비로 생체현상을 영상화하는 기술)에 적용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자기공명영상(MRI)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 등 영상진단장비는 종류마다 측정되는 신호 생성의 원리가 다르기 때문에 조영제 역시 다르게 개발됐다. 이에 다수의 장비를 활용한 복합 바이오이미징에서는 환자에게 조영제를 여러 번 투약해야 하는 불편함과 위험성이 있었다. 

다른 특성을 가진 나노입자들을 결합해 조영제를 개발하면 하나의 조영제로 복합 바이오이미징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용액상에서 핵을 성장시켜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기존 화학적인 방법으로는 입자의 외부 형태나 내부 구조, 물질 조성 등을 독립적으로 조절하고 예측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기존의 화학적 합성법에서 탈피해 반도체 소자의 제작기술에 바탕을 둔 하향식(top-down) 공정기술로 2차원 플라즈모닉 나노입자를 합성했다. 반도체 공정 기술을 이용하면 장점인 높은 재현성을 통해 보다 예측가능하며 복합적인 물성을 갖는 나노입자를 손쉽게 합성할 수 있다.

 나노입자를 구성하는 흰자와 노른자 부분을 조영제로 해 각각 광간섭단층영상(OCT) 및 광음향영상(PAM) 진단장비에 동시 적용할 수 있음이 확인됐다. <자료=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나노입자를 구성하는 흰자와 노른자 부분을 조영제로 해 각각 광간섭단층영상(OCT) 및 광음향영상(PAM) 진단장비에 동시 적용할 수 있음이 확인됐다. <자료=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합성된 나노입자는 납작하고 크기가 다른 입자 두 개가 적층돼 있어 달걀프라이의 형태를 연상시킨다. 

나노입자가 다양한 영상진단장비에 반응하려면 적층된 입자 하나마다 장비에 각각에 맞는 광학 특성(광흡수, 산란, 공진파장 등)을 부여해야 한다. 연구팀은 입자들의 지름과 두께를 독립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광학 특성을 맞춤형으로 설계했다.

위정섭 박사는"이번 기술을 이용하면 금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질과 물성의 나노입자를 설계, 합성할 수 있다"며 "의료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나노조영제를 생산, 보급함으로써 환자의 조영제 투약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진단 정확도를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유망융합기술 파이오니아사업의 지원을 받았으며, 연구성과는 나노물질분야 국제 학술지인 'ACS 나노' 5월 22일자에 실렸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