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일 DGIST 교수, 알츠하이머성 치매 조기진단 길 열어

치매 모델 동물과 사람의 일생을 비교해 알츠하이머 치매 진행과 조기진단의 중요성을 제시한 모식도.<사진=DGIST 제공>
치매 모델 동물과 사람의 일생을 비교해 알츠하이머 치매 진행과 조기진단의 중요성을 제시한 모식도.<사진=D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치매 초기에 냄새를 맡지 못하는 원인을 규명했다.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총장 손상혁)는 문제일 뇌·인지과학전공 교수 연구팀이 서유헌·장근아 가천대학교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초기 진행 상황과 후각기능 이상 간의 관계 메커니즘을 풀어냈다고 18일 밝혔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전체 치매의 60~80%를 차지하는 가장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이다. 대한민국이 고령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퇴행성 뇌 질환 환자가 더욱 늘어나면서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치매에 대한 근원적 치료법은 없으나 치매를 조기에 발견하면 증세 악화를 막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시장에 출시된 일부 치료제들도 치매의 직접적 치료보다는 증세 완화 혹은 지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치료제들은 적절한 시기에 투여해야 효과를 나타내므로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초기에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에는 '베타아밀로이드'로 불리는 독성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과(過)발현돼 뇌 안에서 축적되며 뇌신경세포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에 나타나는 후각기능 이상에 주목해 중추신경계인 뇌뿐만 아니라 말초신경계인 후각신경계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동물 행동 실험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에서 발견되는 초기 후각기능 이상이 뇌 인지기능에 이상이 있음을 확인했다.

또 중추신경계 내부에서만 발현한다고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가 말초신경계인 후각상피조직 자체에서도 직접 발현하는 것을 관찰했다. 베타아밀로이드가 후각상피 속 후각 신경세포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쳐 직접적으로 후각 기능 상실을 유도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문제일 교수는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알츠하이머 치매 진행 초기단계의 베타아밀로이드 발현 메커니즘을 규명해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단계에 발병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발견했다"라며 "향후 치매 조기진단법, 치매 치료기술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셀 데스 앤드 디지즈(Cell Death & Disease)' 온라인판에 지난 8월 10일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