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규 KAIST 교수팀, RNA 분해효소 활성 검출기술 개발
"에이즈 치료 기대"···'나노스케일'에 게재

 박현규 교수 연구팀 연구 내용이 게재된 '나노스케일' 표지. <자료=KAIST 제공>
박현규 교수 연구팀 연구 내용이 게재된 '나노스케일' 표지. <자료=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에이즈 치료제 개발에 단초를 제공할 기술을 개발했다.  

KAIST(총장 신성철)는 박현규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고효율의 신호증폭 반응을 이용해 RNA 분해효소(RNase H)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후천성 면역결핍증인 에이즈는 HIV 바이러스가 발병하면 나타나는 전염병으로 HIV 바이러스는 역전사 반응의 특성을 갖는 '레트로 바이러스'다. 이 바이러스는 RNA가 DNA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데 이 과정에서 RNA 분해효소가 개입해야만 이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RNA 분해효소의 활성을 막을 수 있다면 HIV 바이러스의 발현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현재 개발된 RNA 분해효소의 활성을 검출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값비싼 형광체, 소광체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도입 과정이 복잡하고 신호를 증폭시킬 수단이 없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검출 성능이 매우 낮다. 

이에 연구팀은 '헤어핀 자기조립 반응' 이라는 신호증폭 반응을 이용해 RNA 분해효소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헤어핀 자기조립 반응 기술은 검출신호를 증폭시켜 RNA 분해효소가 미량만 있더라도 쉽게 검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활용해 최근 에이즈 치료제 후보물질로 주목받고 있는 'RNase H' 활성저해제를 찾아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기술은 RNA 분해효소의 활성 외에도 다양한 효소 활성 검출 기술 개발에 응용 가능하다"며 "이를 통해 효소 관련 질병 치료 연구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시행하는 글로벌포론티어사업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영국왕립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나노스케일(Nanoscale)' 지난 14일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