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김영석 튼튼마디한의원 광주점 원장

김영석 튼튼마디한의원 광주점 원장.
김영석 튼튼마디한의원 광주점 원장.
척추관협착증은 뇌에서부터 팔다리까지 이어지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병이다. 주로 척추와 주변 근육·인대의 퇴행성 변화와 함께 발생하는 퇴행성 척추질환이다.

목이나 허리에서 모두 발생할 수 있으나 목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대개 증상이 없어 척추관협착증은 대부분 허리에 발생하였을 때 진단받게 된다. 걸을 때 아프고 잠깐 쉬면 통증이 다소 가라앉는 게 특징이다.
 
척추관이 좁아지는 원인은 다양하다. 특히 추간판(椎間板) 헤르니아가도 그중 하나다. 추간판은 뼈와 뼈 사이에서 쿠션을 역할을 한다. 이것이 척추관 속에서 돌출하는 것을 헤르니아라고 부른다.

헤르니아는 운동을 심하게 한다고 해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등뼈에 불균형한 힘이 가해져 추간판이 밀려나면 생기게 된다. 등뼈 하나하나에 균등한 힘이 가해지면 헤르니아가 생기지 않는다. 어느 한 곳의 근육이 딱딱하게 굳어 뼈에 불균형적인 힘이 가해지면 추간판이 밀려나게 되는 것이다.
 
성인이 되면 뼈는 변하지 않는다고 오해하기 쉽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성인이 된 이후에도 뼈는 신진대사를 계속한다. 파골(破骨)세포는 뼈를 파괴하고 골아(骨芽)세포는 새로운 뼈를 만드는 작업이 쉼 없이 계속된다.

따라서 몇 년 지나면 전신의 뼈는 모두 새 뼈로 교체되는 것이다. 뼈와 뼈가 부딪히는 자리가 있으면 뼈는 그곳을 튼튼하게 보강하려는 성질이 있다. 그 과정에서 가시처럼 튀어나오는 것이 생기는 데 그것을 골극(骨棘)이라고 한다. 이러한 뼈의 변형이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서양의학에서는 척추관협착증이 생기면 돌출된 뼈를 자르는 수술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수술을 하여도 저림 현상이 많이 남는다. 보수적인 치료법으로는 진통제나 신경블록주사요법을 쓰기도 하는데 효과는 일시적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다.
 
필자는 허리를 비롯한 척추질환을 효과적으로 다스리기 위해 고통스런 통증에서 빠르게 벗어날 수 있는 '통기요법'과 척추의 자생력을 살리는 강근골법을 기반으로 한 '척추연골한약'을 사용해 치료에 임하고 있다.
 
척추질환의 치료는 먼저 독맥(督脈)에서 기가 막힌 것을 풀어주어야 한다. 주로 미려관에서 기혈이 정체되어 허리의 통증이 발생하는데 기가 막혀 아픈 것이므로 통기(通氣), 활혈(活血), 거어(祛瘀)시키는 약물인 승기탕으로 미려관에 막힌 기를 소통시키는 것이 튼튼마디한의원의 '통기요법'이다.
 
통기요법은 후한시대 장중경(張仲景)이 저술한 한의학의 바이블, 상한론(傷寒論)에서 유래된다. '통기(通氣)'의 의미는 '막힌 기운을 뚫어준다'는 뜻이다. 즉 통기탕은 탁음(濁陰, 체내에서 아래로 내려 보내는 매우 탁하고 걸쭉한 물질)을 공하(攻下)하고 청양(淸陽)을 상승시키는 처방인데, 그 결과 대장, 방광, 생식선, 허리 등의 부위에 울체되어있던 기가 소통되고 다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미려관에서 녹노관으로 연결되는 허리에 기가 막혀 생긴 각종 질환을 빠르게 없애준다. 기가 잘 소통되면 긴장에 의해 수축된 허리 주변의 근육과 힘줄은 부드럽게 풀어지게 되고 통증 역시 사라지게 된다. 동시에 대장이나 방광도 함께 치료하기 때문에 하초 전체가 건강해져 재발의 염려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튼튼마디한의원 광주점 김영석 원장>
-경희대학교 94년 전체 수석입학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일반대학원, 석·박사 학위 취득(한의학박사) 
-양천구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문위원 역임
-동신대 목동한방병원 내과 진료과장 및 외래교수 역임
-현)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 교수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