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중앙대 연구진, 방관자 면역세포가 인체 손상 관여한다는 점 규명

바이러스 질환, 면역 질환이 인체를 손상시키는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신약 개발에 적용할 가능성이 제시됐다.

KAIST(총장 신성철)는 신의철·박수형 의과학대학원 교수, 김형준·이현웅 중앙대학교병원 교수 공동 연구팀이 바이러스 질환에서 방관자 면역세포에 의해 인체 조직이 손상되는 과정을 발견했다고 21일 밝혔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바이러스 증식 자체로 인해 인체 세포가 파괴되지만, 바이러스가 증식해도 직접적으로 인체 세포를 파괴하지 않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인체 조직은 손상돼 질병을 일으킨다. 하지만 그 원인이나 과정은 상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이와 같은 현상이 잘 발생한다는 사실만 알려져 있었다.

면역계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특이성(specificity)이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해당 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면역세포만 활성화돼 작동한다. 다른 바이러스들에 특이적인 면역세포들은 활성화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감염된 바이러스가 아닌 다른 바이러스와 관련된 면역세포들이 활성화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현상은 흔히 '방관자 면역세포의 활성화'라는 이름으로 오래 전부터 알려진 현상이다. 하지만 이 현상의 의학적 의미는 불투명했다.

공동 연구팀은 A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해당 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면역세포뿐 아니라 다른 바이러스에 특이적인 엉뚱한 면역세포들까지 활성화되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엉뚱한 면역세포에 의해 간 조직이 손상되고 간염이 유발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방관자 면역세포가 인체 손상을 일으키는 데 관여한다는 점을 규명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향후, 항체 치료제를 개발하면 바이러스·면역 질환에서 발생하는 인체 손상을 막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신의철 교수는 "면역학에서 불투명했던 방관자 면역세포 활성화의 의학적 의미를 새롭게 발견했다"면서 "향후 바이러스 질환, 면역질환의 인체 손상을 막기 위한 치료제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면역학 분야 국제 학술지 '이뮤니티(Immunity)' 1월자 최신호에 게재됐다.

방관자 면역세포에 의한 인체 손상 과정 개념도.<자료=KAIST 제공>
방관자 면역세포에 의한 인체 손상 과정 개념도.<자료=KAIST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