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준·장민석 KAIST 교수팀 공동 연구
친환경 무기물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이론적 제시

기존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의 한계였던 독성과 불안정성을 함께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KAIST(총장 신성철)는 김형준 화학과 교수와 장민석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이 납 없이도 고효율의 태양에너지 전환율을 갖는 친환경 무기물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를 이론적으로 제시했다고 2일 밝혔다.

새롭게 발굴한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와 두께에 따른 태양전지 이론효율.<자료=KAIST 제공>
새롭게 발굴한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와 두께에 따른 태양전지 이론효율.<자료=KAIST 제공>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차세대 고효율 태양전지로 각광받고 있다.

고성능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 버금가는 22% 이상의 전환효율을 보이고, 낮은 온도에서 패널을 생산해 제작비용을 혁신적으로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은 안정성이 낮아 오래 구동하면 재료 성능이 떨어지고 물질 구성에 납을 포함해 독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무기물질로만 구성된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들의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이론적으로 파악해 기존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친환경 고안정성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를 제안했다.

연구팀은 물질의 전자구조와 광학적 특성을 예측하는 제일원리 계산과 소자의 광흡수율, 에너지 변환 효율을 예측하는 광학 시뮬레이션을 결합해 소재와 소자를 연계하는 멀티스케일 해석 기법을 정립했다.

연구팀의 페로브스카이트 신소재는 납을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무기물질로만 구성돼 높은 안정성을 갖는다.

또한 기존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에 비해 더 넓은 스펙트럼의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수십 나노미터의 얇은 박막으로도 고효율 태양전지 구현에도 활용될 수 있다. 

연구팀은 향후 페로브스카이트 신소재를 실제 태양전지에 적용하는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최적의 태양전지 신소재를 찾기 위한 이론 연구를 병행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높은 효율을 갖지만 기존 태양전지를 대체하기 위해 독성과 불안정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앞으로 친환경 고안정성을 가지는 다양한 조성의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를 탐색하려는 시도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글로벌프론티어 사업과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람제드 드비치(Lamjed Debbichi) 박사후 연구원과 이송주 석사과정이 공동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지난 달 22일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