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아카데미·원자력포럼, '에너지전환시대의 원자력정책 방향' 포럼
주한규 교수 "중기 직원들 떠나며 원자력 생태계 무너져"

원자력아카데미와 원자력정책포럼은 27일 오전 코엑스에서 원자력원로포럼과 원자력정책포럼을 가졌다.<사진=길애경 기자>
원자력아카데미와 원자력정책포럼은 27일 오전 코엑스에서 원자력원로포럼과 원자력정책포럼을 가졌다.<사진=길애경 기자>
"탈핵화 이행조치들이 잘 짜여진 시간표대로 착착 진행되고 있다. 원자력 설비 제작 중소기업은 1년동안 70명 직원 중에 15명이 떠났고, KAIST 원자력관련 학과의 경우 2학년 진입생이 단 4명으로 줄었다. 서울대 재학생의 30%는 반수에 들어갔다. 원자력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다."

국내 원자력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원자력아카데미와 원자력정책포럼은 27일 오전 10시20분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에너지 전환시대의 원자력정책 방향' 을 주제로 '제51차 원자력원로포럼과 원자력정책 포럼'을 열었다.

주한규 서울대 교수는 '에너지 전환시대의 원자력 정책 방향'을 주제로 토론을 펼치며 국내 원전 생태계의 붕괴 조짐이 보인다고 우려했다.

국내 원자력계는 지난해 6월 고리원전 영구정지 선포, 12월말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공표, 올해 6월 한수원 이사회의 월성 1호기 조기정지와 신규원전 부지 해제 발표 등 탈원전 정책이 1년동안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이다.

또 반핵운동 시민운동 대표주자 이헌석 씨의 원자력안전재단 이사 임명과 김영희 탈핵 변호사의 원자력안전재단 감사 임명, 반핵운동가의 한국원자력연구원 감사 임명 등 탈핵화 이행조치들이 잘 짜여진 시간표대로 진행되고 있다.

주 교수는 "원자력 산업은 소량, 다품종, 고품질을 요하는 특성이 있는데 정부의 탈원전 선언과 치밀한 이행으로 중소기업 직원들이 미래를 암울하게 보고 이탈하고 있다"면서 "탈원전 정책이 가속화 되면 수십억원을 들여 개발한 자체기술은 해외 경쟁사에 이전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인력 유출과 기술 매각 등 국내 원전 생태계가 붕괴되면서 가격 경쟁력도 대폭 저하 될 것"이라면서 "올해 서울대 원자력과 신입생의 30%가 휴학하고 반수생이 됐고 KAIST는 2학년 진입생이 4명뿐이다. 생태계 단절이 올수 있다"고 우려했다.

생태계 회복을 위해 주 교수는 원전 안전성의 오해 불식, 원전의 경제적 효익, 북한 비핵화의 원자력계 역할 강조, 원전수출과 신규건설 추진을 제안했다.

주 교수는 "탈원전의 근본 동인은 원전 안전성에  대한 국민 불안감이다. 막연한 불안과 공포감이 탈원전 정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면서 "국민의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여론을 전환하는 노력이 우선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원전 발전 원가가 LNG 나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에 비해 현저히 낮고 연료 수입을 위해 해외로 유출되는 돈이 미미하고 원전 수출로 외화 획득과 고급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면서 "LNG도 석탄의 60%정도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원전의 경제 효익과 기후변화 대응 등 원자력의 지속적 이용 당위성을 강조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원자력계의 협력도 당부했다. 그는 "원전 생태계를 보전해야 향후 원전 수출 가능성을 더 높일 수 있다"면서 "신규원전 부지 해제 등 비가역적조치는 꼭 철회 되도록 원자력계 전체가 힘을 모아 여론 전환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포럼은 이헌규 전 KINAC 원장이 '에너지전환시대 원자력 정책 어디로 가야하나', 임만성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 공생방안'을 주제로 주제강연을 펼쳤다.

패널토론은 송하중 원자력포럼 회장을 좌장으로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김인식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김인식 회장, 권혁수 POSTECH 신재생에너지연구소 교수, 정주용 한국교통대학교 행정학부 교수가 나섰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