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을 각오로 몸을 던진 한국 월드컵팀이 최강 독일팀을 이겼습니다. 믿지 못할 승리에 감격하면서 '오늘 같은 투혼이라면 산업에서도 독일을 이겨볼 수도 있겠지'란 기대도 품었습니다.
 
그러나 전날 기대는 '오는 학기 KAIST 원자력·양자공학 전공 선택 학생 0명' 소식을 접하고 아득해졌습니다. 다른 대학들은 원자력 전공 폐지에 이릅니다. 산업계 인재 이탈 속도도 심각합니다. 우려가 현실이 됐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클라우드 시스템인데 엄청난 전력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전망합니다. 원전에 비해 신재생에너지는 아직 준비가 덜 됐습니다. 성급하게 원전 기반을 망치면 4차 산업혁명 도달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2차 규제혁신 회의를 '준비 부족'으로 돌연 취소했습니다. 규제 이슈는 매일 신문을 장식합니다. 미스매칭 규제, 이중 규제, 무리수 규제··· 분야와 사례는 달라도 호소는 하나입니다. "제발 현장 목소리를 들어보라!"
 
중국 산업이 심상치 않습니다. 대미 무역이 악화하고, 주변국에서 반중 시위를 벌입니다. 이에 중국은 '자국 기술이 과장된 면이 있다'고 한발 물러서기도 합니다. 하지만 통신 기술이나 우주 진출까지 중국이 강한 기술 수준에 오른 것은 사실이고, 우리에게 큰 위협입니다.
 
정반합이 안되는 사건들을 보다 "타인의 삶과 사회의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면 자신의 끌고 가고자 하는 방향에 대해 명확히 설명해야 하며, 만약 그 방향이 틀린 것으로 판명되면 이를 수정하고 사과할 줄 알아야 한다"는 어느 주장에 눈길이 멈췄습니다.
 
오늘의 행사-1st 함께하는 딥러닝 컨퍼런스
 
[조선일보] 카이스트 원자력·양자공학 전공 선택한 학생 '0'명
대학에선 학생들이 원자력 관련 학문을 외면하고, 한국전력기술 등 핵심 기업에선 기술 인력이 빠져나가고 있다.

[동아일보] 드론-자율차 등 개별과제 나열… 5개월전 보고내용 '재탕' 수준
기업이 애로를 호소하는 현장의 규제를 외면한 채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벤처, 중소기업 분야에 정책이 쏠려 있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조선일보] 없던 규제 생기자… 멀쩡히 날던 드론 뜯어고치는 중
"대한상의 회장이 된 지 4년간 38번, 40번에 가깝게 (규제 개혁) 과제를 말씀드렸는데, 상당수가 그대로 남아 있어 기업들은 현장에서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경제] "기간·비용 줄이는 AI 신약개발… 의료 빅데이터 개방이 관건"
한국은 의료기관의 전자의무기록(EMR) 보급률이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활용 가치는 낮은 편이다. 

[동아일보] "금형 납품땐 일 몇달 몰리는데… 탄력근로 3개월로는 역부족"
고질적인 인력난과 박한 영업이익에 시달리는 중소·중견 제조업체들은 선진국처럼 단위기간을 최대 1년으로 유연하게 늘려 달라고 호소했다. 

[매일경제] 세계는 열병합발전 확산…韓발전사는 이중규제로 적자수렁
특히 열병합발전소는 일반 화력발전소와 동일하게 배출권 거래제 대상이면서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사업자(설비용량 500㎿ 규모 이상)로 지정돼 사실상 이중 규제를 받고 있다.

[조선일보] 中 관영매체 "중국 '기술 과장'이 미·중 무역갈등 원인...격차 크다"
중국 산업 육성책인 '중국 제조 2025'을 통해 생산된 상품들은 오히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대규모 관세 대상이 됐다.

[중앙일보] 5m 떨어져 모니터만 보고 로봇팔로 원격수술
"국내 최대 단말기 제조업체인 삼성전자와의 관계, 보안 문제, 중국 장비에 대한 국민의 거부감 등이 걸림돌...하지만 성능이 더 좋고 값이 싸다면 기업 입장에서 고려해보지 않을 수 없다"

[조선일보] 민간 우주로켓 시장에 뛰어든 중국 "미국 나와"
중국 민간 우주 기업들은 최근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소형 위성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동아일보] 왜 '자유민주주의' 삭제에 집착할까
정(正)에서 반(反)으로 갔다가 중간의 균형을 찾아가는 정반합(正反合) 같은 그 과정은 자연스럽고 바람직한 것이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