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종철 뇌연구원 박사, 신경세포 과흥분 억제 원리 밝혀

라종철 한국뇌연구원 박사 연구팀이 저산소성 뇌 손상 치료 물질을 발견했다.<사진=한국뇌연구원 제공>
라종철 한국뇌연구원 박사 연구팀이 저산소성 뇌 손상 치료 물질을 발견했다.<사진=한국뇌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팀이 저산소성 뇌 손상 치료 물질을 발견했다.

한국뇌연구원(원장대행 임현호)은 라종철 박사 연구팀이 허혈성 뇌졸중 등으로 막혔던 혈관에 혈액이 다시 돌 때 일어나는 뇌 손상의 치료 물질을 발견했다고 13일 밝혔다.

허혈성 뇌졸중이란 뇌혈관 폐색으로 혈류가 감소하면서 뇌 조직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허혈성 뇌졸중이나 고산병이 일어나면 혈관을 통해 뇌 신경세포에 공급되는 산소공급이 줄어들면서 저산소증이 나타난다. 이때 다시 혈액을 공급해 지속적 뇌 손상을 방지해야 하는데, 다시 산소를 공급받는 과정에서 신경세포가 지나치게 흥분해 추가적인 뇌 손상이 나타나게 된다.

혈류를 정상화하는 단계에서 신경세포의 흥분을 조절해 손상을 억제하는 치료제의 개발이 중요하다.

연구팀은 혈액이 다시 공급될 때 신경세포의 과다한 흥분을 일으키는 양이온 통로(HCN통로)를 확인했다. 양이온 통로는 심장과 뇌 신경세포 등에 있다. 세포의 주기적인 활성에 기여한다. 통로가 열리면 양이온이 세포 내로 들어와, 신경세포가 흥분하게 된다.

또 혈류를 정상화하기 전에 해당 이온 통로를 억제하는 물질인 제이트브레딘(Zatebradine)을 사용하면 신경세포의 과흥분과 독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기존에는 뇌졸중 환자나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회복을 위해 체온을 32℃까지 낮추어 뇌에 흐르는 혈류를 느리게 하는 저체온요법이 많이 이용됐다. 이번 연구는 신경세포의 흥분을 직접 낮추는 방법을 발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라종철 박사는 "이번에 발견된 이온 통로 억제제는 본래 부정맥 치료용으로 사용되던 약물"이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뇌의 재관류 손상 억제용으로도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면서 저산소성 뇌 손상의 새로운 치료법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Neuropharmacology' 8월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