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원격의료 시스템 '텔레-ICU' 구축에 약 56억원 투입

일본의 원격의료 시대 막이 올랐다. 병원과 중환자실을 연결하는 원격의료 시스템이 일본에 구축될 전망이다.

17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후생노동성은 중환자실 원격의료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원격의료는 정보통신기술(ICT) 기기를 활용해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행위를 말한다.

일본은 고령화와 성인병의 증가로 중증 환자들의 수가 늘어나고 있어 중환자실의 수준 향상이 시급한 문제로 거론돼 왔다. 후생노동성 조사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중환자실 병상 수는 6500개지만 2016년 기준 전문의는 1400명에 불과했다.

일본 후생노동부는 전문의를 모든 병상에 배치할 수 없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원격의료를 선택했다. 전문의를 크게 늘리지 않고도 의료의 질을 향상하겠다는 복안이다.

먼저 환자의 의료 기록 데이터를 주요 병원으로 보내 전문 의사의 원격의료가 가능토록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핵심 의료 기관 전문의들은 환자를 실시간으로 진료할 수 있게 된다. 일본 정부는 원격의료 도입 이후 약 40억엔(약 402억원)이 넘는 의료비가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본 정부가 보급하는 원격의료 시스템은 '텔레-ICU(tele-ICU)'다. 후생노동성은 내년까지 텔레-ICU 구축에 5억5000만엔(약 56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텔레-ICU 시스템이 도입되면 환자의 입원 기간도 14.3일에서 9.6일로 짧아질 전망이다. 입원 비용이 의료비의 40%를 차지하는 만큼 입원 기간이 짧아지면 의료비도 절감된다.

반면 한국은 여전히 원격의료 규제가 심각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2000년 강원도 16개 시·군을 대상으로 원격의료 시범사업이 실시된 이래 현재까지 제자리걸음이라는 지적이다. 

정부는 2010년 이후에도 원격의료 확대를 추진했지만 핵심 규정이 담기 의료법을 개정하지 못했다.

원격의료 규제 개정이 무산된 이유는 '의료 서비스 질 저하'가 우려된다는 목소리 때문. 일부 정치권과 의사·시민단체, 보건의료노조 등이 ▲의료 영리화 ▲오진 ▲특정 병원으로 환자 쏠림 등의 이유로 반대해왔다.

국내 바이오 업계 한 관계자는 "한국의 정보통신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원격의료 분야에서는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라며 "국내에서는 규제에 막혀 상용화하지 못하고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합리적인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원격의료 이용률이 인구의 20%로 확대되면 2조원 규모의 신규 시장이 생겨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원격의료 허용을 비롯해 영리병원 설립 등의 규제가 완화될 경우 최대 37만4000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