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 윤명한 교수 연구팀, 용액매개결정화법으로 고성능 플라스틱 전해질 소자 규명

고성능, 고안정성을 지닌 플라스틱 논리소자 및 결정화된 전도성고분자의 세부구조 및 미래 인체친화형 헬스케어 기기의 모식도.<사진=한국연구재단>
고성능, 고안정성을 지닌 플라스틱 논리소자 및 결정화된 전도성고분자의 세부구조 및 미래 인체친화형 헬스케어 기기의 모식도.<사진=한국연구재단>
국내연구진이 인체 이식용 전자의료기기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는 전자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연구재단은 GIST(광주과학기술원)의 윤명한 교수와 이광희 교수 연구팀이 고온·고압의 멸균처리 후에도 체내에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고성능 플라스틱 전해질 전자소자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차세대 인체 이식용 전자의료기기의 핵심기술로 유기생체전자소자가 주목된다. 유기생체전자소자는 전도성 고분자물질 기반의 생체전자인터페이스 소자. 체내 생체신호와 이온·단백질 농도 측정, 신경세포와 심근세포의 전기·이온성 자극 등에 응용된다. 기존 무기물과 탄소 기반 소자보다 우수한 생체신호 감지능력, 기계적 유연성, 생체적합성과 낮은 공정비용이 장점이다.

하지만 인체 내 장시간 사용시 필요한 체내 구동 안정성과 고온·고압 멸균처리 중 발생하는 변성이 약점으로 지적돼 왔다. 연구팀은 계면활성제와 가교제 등 첨가제를 추가하는 기존 개선방식 대신 근본적인 재료공학적 접근법인 용액매개결정화법을 통해 높은 성능과 안정성 확보를 시도했다.

연구팀은 전도성 고분자 미세구조를 분석해 첨가제 없이 활성층 고분자 물질의 고결정성 분자 재배열 유도만으로 전해질 트랜지스터 소자 성능과 수용액상 안정성이 극대화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 고결정성 고분자의 안정성에 따라 플라스틱 전자소재를 이용한 생체전자소자가 생체 이식형 의료기기의 미생물 멸균 과정에서 주로 쓰이는 고온-고압의 증기멸균(오토클레이브, Autoclave) 처리 이후에도 고성능-고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윤명한 교수는 "생체전자소자 개발을 위해 필수인 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성능 향상과 용액 안정성을 비교적 간단한 용역매개 결정화법을 통해 확보한 것"이라면서 "향후 생체전자소자 상용화와 사물인터넷 기반 유연 광센서나 수계 유기전극 기반 촉매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21일 자 논문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