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창혁·김형준 교수 "경제적 탄소기반 촉매···수소자동차 대중화 기대"

탄소기반 촉매의 비활성화 과정 모식도.<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탄소기반 촉매의 비활성화 과정 모식도.<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활성산소를 조절해 수소연료전지 촉매 내구성이 향상될 전망이다. 친환경 수소자동차 대중화에 한걸음 다가섰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최창혁 GIST 교수와 김형준 KAIST 교수 공동 연구팀이 수소연료전지 내에서 탄소기반 촉매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활성산소임을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수소자동차의 가격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값비싼 백금 촉매를 저렴한 탄소기반 촉매로 대체하려는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뤄져 왔다.

그 결과 성능 면에서는 기존 백금 촉매에 견줄 만큼 발전됐으나, 100시간도 되지 않는 낮은 내구성으로 인해 상용화로 적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연구팀은 탄소기반 촉매의 낮은 내구성이 중간 생성물인 활성산소 때문임을 규명해, 촉매의 안정성을 확보할 기반을 마련했다.

수소연료전지를 구동할 때 과산화수소가 생성된다. 마치 소독제인 과산화수소를 상처에 발랐을 때처럼 과산화수소가 탄소기반 촉매에 노출되면 활성산소에 의해 거품이 일어난다. 연구팀은 이 활성산소에 의해 촉매성능이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또 탄소기반 촉매에서 활성산소에 의해 생긴 산소작용기를 제거하면 촉매 성능이 회복됐다. 촉매의 구조는 붕괴되지 않아, 활성산소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성능을 80% 이상 회복할 수 있다.

최창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탄소기반 촉매의 내구성에 대한 지난 수년간의 수수께끼를 풀어낸 것"이라며 "향후 활성산소 제어를 통해서 탄소기반 촉매의 성공적인 연료전지 자동차 도입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환경과학 분야 학술지인 '에너지 엔 인바이런멘탈 사이언스(Energy & Environmental Science)'에 4일 자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