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학내 과일집에서 11월 한 달 동안 예술가 상주 프로젝트 진행
28일 오픈 스튜디오 행사 열어···자연, 생명, 순환 주제로 작품 전시 

예술가들이 과학 연구 시설에서 한 달 동안 머물며 과학기술을 통한 환경순환과 사회문제 해결 가능성을 제시했다.  

UNIST(총장 정무영)는 28일 '과일집(과학이 일상으로 들어오는 집, Science Cabin)'에서 오픈 스튜디오 행사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새로운 생태시스템과 순환을 위한 융합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사이언스 월든에서 추진한 '과학-예술 레지던시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전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UNIST는 지난해부터 자체 순환시스템 구축으로 인분을 분해해 에너지로 만들고, 화장실 사용자에게 화폐를 지급하는 '똥본위화폐'를 실현하기 위한 사이언스 월든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다.

전원길, 임승균 작가는 11월 한 달간 이 프로젝트의 생활형 연구실인 과일집에 머무르며 사이언스 월든의 가치와 비전을 주제로 한 작품 활동을 진행했다. 

작가들은 상주기간 동안 교내 실험실을 방문하고, 매주 '작가와의 대화' 시간을 마련해 연구원, 학생들과 교류했다. 

작품 중 전원길 작가의 '몽유똥원도'는 독특한 얼룩과 금이 어우러져 안견의 '몽유도원도'와 같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 얼룩은 작가가 먹고 마신 커피와 똥으로 만들어졌다. 작가는 과일집에서 먹고 자며 배출한 것들을 태우고 갈아 자신만의 물감으로 재탄생시켰다.

전원길 작가는 "똥이 버려지지 않고 순환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사이언스 월든 프로젝트의 가치를 새로운 방식으로 표현해보려 했다"며 "일상 속에서 버려지고 지워지는 것들의 의미들을 쌓아올려 그 가치를 되살리려는 시도"라고 설명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주관한 백경미 기초과정부 교수는 "새로운 생태적 연결시스템을 만들고자 하는 융합연구과정에서 시도한 과학-예술 간의 협력 사례"라며 "과학도와 예술가에게 사이언스 월든이 제안하는 새로운 경제시스템과 이를 기반으로 발전할 대안공동체에 대한 비전을 나누고 확산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과일집은 사이언스 월든 프로젝트의 다양한 실험이 이뤄지는 생활형 실험실이다. 3명이 동시에 거주할 수 있는 생활시설을 갖췄으며, 인분을 에너지로 전환해 활용할 수 있는 바이오시스템 구축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평소엔 연구원들이 상주해 각종 실험을 진행하며, 예술과 과학이 함께하는 행사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전원길 작가의 '몽유똥원도'.<사진=UNIST 제공>
전원길 작가의 '몽유똥원도'.<사진=UNIST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