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연구원·언론·시민단체 초청해 고준위폐기물 안전한 처분 방안 토의

원자력연은 '제4회 방사성폐기물 처분 Safety Case 워크숍'을 5일 개최했다. <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연은 '제4회 방사성폐기물 처분 Safety Case 워크숍'을 5일 개최했다. <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직무대행 백원필)은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이하 고준위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분해 신뢰도를 높이고자 '방사성폐기물 처분 Safety Case 워크숍'을 5일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고준위폐기물 처분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과학계와 시민사회의 역할을 논의하는 자리가 됐다. 원자력연을 비롯해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KAIST 등 원자력 유관기관과 언론·시민단체 관계자가 국내외 고준위 폐기물 심층처분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이날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 '시민의 입장에서 본 고준위폐기물 처분에 대한 시각' ▲조동건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사 '신뢰도 제고를 위한 고준위폐기물 처분 안전성 평가 연구현황' ▲한병섭 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 소장 '중저준위폐기물 처분 사례를 통한 고준위폐기물 처분 수용성 증진방안' ▲윤종일 KAIST 교수 '처분 안전성 신뢰도 증진을 위한 연구 방향' ▲김민수 조선비즈 기자 '고준위폐기물 처분 신뢰도 확보를 위한 과학계 및 시민단체의 역할' 등 5명의 발표가 진행됐다. 발표 이후에는 패널토론이 이어졌다.

원전 사용후핵연료로 대표되는 고준위폐기물은 고위험 방사선과 고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지하에 영구처분하기 위해서는 금속용기에 밀봉한 후 다중방벽을 가진 지하 500m 이상의 심층처분실에 보관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 전 세계적으로 사용후핵연료 처분장을 운영하는 국가가 없을 정도로 처분장 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발생한 사용후핵연료를 각 원전의 임시저장시설에 보관 중이다. 문제는 원전별 임시저장시설이 이르면 내년부터 점차 포화돼 2038년경 완전 포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 때문에 환경단체와 시민단체들은 현재 임시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 처분을 위한 처분장을 조속히 확보하고, 향후 사용후핵연료 발생을 근절하기 위한 원전 가동 중지를 촉구해왔다. 이날 워크숍에서는 한병섭 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 소장은 고준위폐기물 처분 수용성 증진방안에 대해 로드맵을 제시했다.

백민훈 방사성폐기물처분연구부장은 "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와 시민단체가 요구하는 고준위폐기물의 현실적이고 객관적인 처분 방안을 마련하고자 연구원 자체 연구 성과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검증된 안전성 연구 사례 소개에 중점을 뒀다"며 "이번 워크숍을 통해 언론·시민단체의 의견을 수렴해 연구 정책 방향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