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공학연구원, 울릉도서 서식하는 미생물로부터 항말라리아 물질 발굴

항말라리아 치료제 연구 개발에 속도가 붙을 수 있게 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 항암 물질연구단은 울릉도 토양에 서식하는 '방선균'으로부터 새로운 화학 골격을 가지는 항말라리아 물질을 발굴했다고 6일 밝혔다. 방선균은 원핵세포 세균으로 토양·하천·동물체·식물체 등에 서식하는 미생물이다.  

미생물이 생산하는 생리활성물질은 항암제나 항생제 등의 의약품으로 개발돼 왔다.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는데 가장 중요한 사항은 기존에 발굴되지 않은 새로운 화학구조를 지니는 화합물을 발견하는 것이다. 새로운 작용기작의 발견은 신약을 개발하는 데 기여한다. 다양한 구조의 화합물을 생산하는 방선균은 수십 년간 신약개발에 있어 중요한 생물자원으로 활용돼 왔다.

연구팀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할 가능성이 높은 희귀 방선균에 주목했다. 방선균의 효과적인 분리와 배양을 위해 차별화된 접근법을 모색했다. 희귀 방선균은 실험실 내에서 배양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 울릉도 흙에서 선택적으로 가져왔다.

분리된 균은 통상적인 미생물보다 긴 기간에 걸쳐 배양했다. 이후 배양 추출액의 성분조사를 통해 생산된 화합물의 신규성을 분석, 최종적으로 희귀 방선균의 배양액으로부터 4종의 신규 화합물을 발굴하게 됐다. 이번에 발굴된 화합물의 생리활성 검정 결과, 말라리아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치료제보다 우수한 저해 활성을 지닌 것으로 확인됐다.

안종석 항암물질연구단장은 "이번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조사되지 않았던 울릉도 토양으로부터 희귀 미생물을 분리해 신규 이차 대사산물을 발굴한 성과"라며 "울릉도 토양을 활용해 신약 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한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