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가동원전 안전 극대화 위한 안전기술 고도화 방안 수립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10일 정부과천청사에서 미래원자력 안전역량 강화방안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10일 정부과천청사에서 미래원자력 안전역량 강화방안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는 청정에너지를 확대하고 원자력 비중을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점진적으로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늘려도 최소 60여년 간 운영될 가동원전의 안전성 확보는 필수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국내 원전의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기존 원자력 분야 혁신역량을 확대하는 '미래원자력 안전역량 강화방안'을 수립·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과기부는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여가는 에너지전환 정책 기조에 따르지만 원전이 에너지 생산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가동원전의 안전성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과기부는 원자력 안전 강화를 위해 ICT 등 첨단 과학기술과의 융합을 추진 중이다. 최신 계산과학과 슈퍼컴퓨팅 기술을 활용해 대규모 실험시설이 없어도 원전 안전성을 정밀하게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가상원자로 기술을 개발 중이다. 가상 원자로에서는 노후원전 안전성 평가, 복합사고 안전성 평가 등이 이뤄질 전망이다. 

또 내년에는 '원자력 안전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해 원자력 안전 분야에 향후 7년간 약 67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해 원전 진단, 사고 예측, 대응 분석 등을 진행한다.

방사능 사고를 대비해 방사선재난 구호 로봇, 방호 드론, 통합 방재시스템도 구축한다. 사용후핵연료 정밀분석·평가 등 취급기술과 운반·저장 기술을 개발해 기존 처분기술의 단점을 보완해 안전관리 역량을 확보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현장의 안전을 강화하고 원전 장비의 첨단기술화를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분야 부처별 협력 생태계를 구축하고, 산업화 성과로 이어지는 체계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에너지전환 정책 하에서도 최소 60여 년간 국내에서 원전이 운영되는 만큼 원전 안전을 극대화해 나가야 한다"며 "지금껏 쌓아 온 역량과 기술을 원자력 안전 분야에 활용해 안전역량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원전의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기존 원자력 분야 혁신역량을 확대하는 '미래원자력 안전역량 강화방안'을 수립·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원전의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기존 원자력 분야 혁신역량을 확대하는 '미래원자력 안전역량 강화방안'을 수립·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