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옛충남도청서 '대전세종 정책 엑스포' 열려
"인구감소·지리적 강점 사라져···네트워크 강화필요"

"대전은 혁신플랫폼 도시가 될 수 있다. 연구성과 사업화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결합지원함으로써 혁신확산의 허브 역할을 해야 한다. 고숙련인력, 고부가기술, 제품, 강소벤처를 배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황혜란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대전에는 우수한 인력, 기술, 사용자가 있다. 기존 자원들을 연계해 데이터산업을 육성해야 한다. 공공 데이터 허브로서 역할하고, 데이터 커뮤니티도 활용할 필요가 있다."(양성광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17일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열린 '대전세종정책엑스포'에서 대전의 새로운 발전 방향이 논의됐다. 교통중심지, 연구단지로 성장을 거듭해 온 대전이 주력 산업 정체, 세종시 출범, 인구 감소 등으로 위기감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미래 발전 방향을 찾기 위해서다.  

대전세종연구원이 대전 시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통계지표에는 대전의 위기감이 드러난다.  강형조 대전세종연구원 미래전략실장은 "상당수 대전 시민들은 설문조사에서 대전이 성장을 멈추고 쇠퇴를 시작하는 상태에 있다고 답변했다"면서 "세종시 출범 이후 국토 중심 위상이 위축되고, 출산율과 취업률이 감소하는 가운데 지속가능하고,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변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광형 KAIST 교학부총장은 "교통중심지, 연구단지로 대전이 발전했지만 세종시 출범 이후 인구가 감소하고, 도시로서 변화의 기로에 서있다"면서 "오송역 등으로 지리적 장점도 사라지고 있고, 일자리 감소로 인구도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대전과 세종의 희망과 미래를 설계하는 자리가 마련됐다.<사진=강민구 기자>
대전과 세종의 희망과 미래를 설계하는 자리가 마련됐다.<사진=강민구 기자>
이러한 위기감을 타개하고 혁신 도시로 나아갈 다양한 해법이 제시됐다. 실천이 중요하다는 전문가 의견도 나왔다. 서중해 KDI 경제정보센터 소장은 기업이 주체로 참여하는 혁신 생태계 구축과 정부(대전시)의 주인의식도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서 소장은 "자율, 개방,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면서 "역량을 결집해 성공사례인 유니콘 기업을 배출하는 경험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 오송과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계속됐다. 이광형 교학부총장은 "세종, 오송과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교통망, 문화산업, 일자리 등을 연결해 서로 발전할 있어야 한다"면서 "대전이 상대적으로 강한 과학, 예술, 문화에 주력하며 우수한 인력들이 떠나고 싶어하지 않는 도시로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선배 산업연구원 국가균형발전연구센터장은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지는 시대에 접어들면서 시장에서 팔릴 수 있는 물건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신기술을 활용하는 것 만큼 기존 기술을 연결해 새로운 산업으로 만드는 시도도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자치단체장들도 협력과 연결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허태정 대전광역시장은 "대전은 인재의 집결지로, 지역과 연결해서 미래를 만드는 것이 숙제"라면서 "전문가들이 모여 대전의 현안과 미래를 고민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류순현 행정특별자치시 행정부시장은 "수도권에 인구, 교육, 문화에 집중되면서 부작용이 많고, 국가 불균형이 심각하다"면서 "세종시와 대전시의 동반성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박재묵 대전세종연구원장은 "대전의 과학자, 세종시의 인문사회연구자, 오송의 생명과학두뇌를 함께 모아 융복합해서 아이디어를 만들어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전·세종 정책엑스포' 행사 참석자들의 단체 사진.<사진=강민구 기자>
'대전·세종 정책엑스포' 행사 참석자들의 단체 사진.<사진=강민구 기자>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