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교수팀, 장내 미생물 대사체 제어 통한 치료효과 방안 제시

성균관대 교수팀이 당뇨 치료제 효과가 환자마다 다른 이유를 장내 미생물 대사체에서 발견했다.<사진=연구재단 제공>
성균관대 교수팀이 당뇨 치료제 효과가 환자마다 다른 이유를 장내 미생물 대사체에서 발견했다.<사진=연구재단 제공>
당뇨 치료제의 환자별 혈당조절 실패 원인이 규명됐다. 원인은 장내 미생물 대사체인 이미다졸 프로피오네이트(ImP)였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고아라 성균관대학교 교수와 프레드릭 백헤드 스웨덴 예테보리대학교 교수팀이 ImP가 당뇨병 약인 메포민의 작용을 억제함을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메포민은 당뇨 진단 후 첫번째로 처방받는 약물이다. 무려 60년 이상 이용돼왔지만 환자 개인별 반응성 차이로 메포민이 혈당을 낮추는데 실패하는 경우들이 보고된다.
 
연구진은 메포민의 작용실패를 매개하는 인자를 발굴하고 그 작용기작을 이해하게 되면 메포민에 대한 개인별 반응성 차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연구를 시작했다. 그 결과 메포민 복용에도 불구하고 혈당이 높은 당뇨환자의 혈액에서 ImP의 농도가 높음을 확인했다. 특히 ImP를 마른 쥐, 비만인 쥐, 당뇨인 쥐에 주입했을 경우 메포민의 혈당저하 효과가 저해됨을 관찰했다.
 
연구진은 이 같은 내용을 토대로 장내미생물 대사체인 ImP와 당뇨병 약인 메포민의 상호작용을 확인, 장내미생물 대사체 제어를 통해 당뇨병 약인 메포민의 성공률을 높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관계자는 "정밀의학, 맞춤의학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는 가운데 장내 미생물 대사체 제어를 통한 약물에 대한 개인별 반응성 조절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에 8월 12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