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자 중심으로 운영돼 오던 정부의 벤처기업 지원 방식이 투자로 전환될 전망이다.

정부의 투자사업이 가동되면 기술이나 특허, 미래가치를 제시하는 유망 벤처기업들은 별도의 부동산 담보 없이도 정부로부터 사업 추진 자금을 지원 받을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기술 개발에 전념할 수 있게 된다.

정보통신부는 중소 벤처기업들에 대한 효율적 육성 및 지원을 위해 지금까지 융자 중심으로 운영해 오던 정부 자금을 상당 부분 투자로 전환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벤처기업 대상 융자사업이 장기 저리 대출이라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채무자에게 부동산 등 담보를 선행 조건으로 요구, 운영면에서 기업들의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정부의 융자사업은 실제 이같은 이유로 매년 집행 규모가 전체 예산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으며 기업들 역시 지원 자금을 할당받아도 담보가 없어 대출을 받지 못하는 사례가 많았다.

특히 소프트웨어 분야는 사업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이나 특허와 같은 무형자산들이 담보로 인정받지 못해 지난해 50억원의 융자 예산 중 13.4%인 6억7천만원만이 지원되는 데 그쳤다.

정통부는 이에따라 올해 3천500억원 규모의 융자지원과 별도로 유사한 수준의 투자사업을 병행 추진한다는 계획이며 현재 기획예산처와 추가 자금 유치를 위한 논의를 진행중이다.

정통부의 자금 유치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정부의 벤처 대상 투자자금 규모는 올해 기할당 예산 450억원을 포함, 5천억원 안팎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투자기금 운영 및 사업 추진 주체로는 정통부가 직접 창투사를 설립 운영하는 안과 민간 창업투자사와 협력하는 방안이 모두 검토되고 있으나, 정부가 전담조직을 두고 직접 관리 감독하되 실제 운용은 창투사와 협력하는 방안이 유력시되고 있다.

정통부는 이와 관련, 지난 달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에 7명의 전문인력으로 투자사업전담부서를 신설, 운영해 오고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지원 방안을 도출해낸다는 계획이다.

투자 사업과 관련, 뚜렷한 윤곽이 확정되는 시기는 이달 말이나 오는 6월로 관측되고 있다.

정통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융자를 요청하는 기업 대부분 담보 제시가 어려운 상황이고 경기 침체시에는 자금 상환에 더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며 "그러나 투자는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또 장기적으로도 경쟁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에 추진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통부의 장기 저리 융자사업은 지난 해 4월부터 지난 1월 31일까지 총 5천200억원의 지원 자금 중 5천150억원이 대출될 예정이었으나 전체의 47.6%인 2천477만4천100억원만이 집행되는 데 그쳤다.

수혜 대상 역시 당초 1천44개사 1천189개 과제 중 1월말까지 509개사 560개 과제만이 정부의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었다.

반면 같은 기간 투자와 유사하게 운영돼 온 출연사업은 총 7천534억1천300만원중 99.7%인 7천514억1천300만원이 집행됐다.

아이뉴스24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