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서비스를 이용하시려면 기업회원으로 가입하셔야합니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02/04 조회수 845
1. 연구주제 : 바이오 유망기술 글로벌 창업 지원사업(바이오기술 예비 창업팀)
2. 연구목표
- 바이오 기술 창업팀의 아이템의 고도화를 통한 창업 성공률 제고
- 핵심 인력 역량강화를 통한 기술성과의 글로벌 창업으로 연계
3. 연구내용 및 범위
- 바이오기술창업교육 프로그램 이수 및 멘토링 참여(멘티)
- 제품·서비스 개발 계획 수립 등 창업아이템 구체화
- 비즈니스 모델 수립 등 창업 탐색활동 수행 및 사업계획서 완성
4. 온라인 신청 및 오프라인 제출 기간
- (연구자 마감) ‘17.12.29.(금) ~ ‘18. 2. 5.(월) 18:00
- (주관기관 승인 마감) ‘17.12.29.(금) ~ ‘18. 2. 7.(수) 18:00
※ 신청마감일은 온라인 접속이 폭주하므로 마감일 1∼2일 전까지 신청 완료 권장
※ 연구책임자는 연구자 마감일까지 연구계획서 등록 후 신청완료를 클릭하여 완료하여야 하며, 반드시 최종마감은 주관기관 승인이 완료되어야 접수 인정되며, 시간 경과 시 별도의 구제절차는 불가하기에 연구책임자가 최종까지 점검 필수
5. 신청방법 :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제출해야 함
- (온라인)
: 전문기관 접수시스템(https://ernd.nrf.re.kr/)에 제출서류 업로드
※ 단위/세부/위탁 계획서는 목차 1(연구 개발의 필요성)∼4(연구 개발 결과의 활용 방안 및 기대 효과)까지의 분량은 30페이지 이내이며, 총괄계획서는 제한 없음
※ 단위(위탁) or 총괄․세부(위탁) 과제별로 연구개발계획서 1개 파일(HWP), 증빙서류 1개 파일(PDF)로 변환저장 후 업로드(파일종류에서 PDF선택)
- (오프라인)
: 연구개발계획서, 증빙자료를 합본하여 인쇄 사본 1부 제출
※ 총괄기관(총괄/단위과제)에서 세부/위탁과제까지 취합하여 인쇄본을 제출하며, 우편/택배 제출은 마감당일소인까지 유효, 인쇄본은 온라인 자료와 동일하여야 하며, 사실과 다른 내용을 연구계획서 등에 기재한 경우 제재(선정 취소 등) 가능
※ 우편제출 : (34113)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01 한국연구재단 생명공학팀
* 담당자 연락처: 042-869-7731, 7764, 7768
※ 직접방문 : 한국연구재단 대전청사 연구관 1층 안내데스크 직원에게 제출
---------------------------------------------
임 유 정(Lim, You-Jeong)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연구원
Tel: 042-280-4184
E-mail: ksun_sl@naver.com
305-716 대전광역시 동구 대학로 62(용운동)
--------------------------------------------------------- 안내서 -------------------------------------------------
[연구주제 안내서] - 연구주제 번호 2018-1-17
- 글로벌 진출 유망 의료기기 원천기술개발 (바이오 아이코어 사업) - |
한국연구재단 | ||||||||||||||
지원 및 감독 | ||||||||||||||
주관기관 (바이오아이코어사업단) |
||||||||||||||
사업총괄 | ||||||||||||||
국내전담기구(주관기관내설치) | 해외전담기구(협력기관) | |||||||||||||
사업단 관리 및 창업 지원 | 해외 교육 및 글로벌 진출 지원 | |||||||||||||
사업운영 및 창업팀 관리 창업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해외 창업교육 프로그램 운영 해외 창업 멘토링 해외 파트너 발굴 및 기술지원 해외 창업기업 활동 지원 |
|||||||||||||
![]() ![]() |
||||||||||||||
예비창업팀 | 글로벌 창업팀 | |||||||||||||
국내외 교육 이수 창업아이템 고도화
비즈니스 모델 수립 |
⇨ 우수팀 선정 |
추가 연구개발 진행
해외 창업지원프로그램 참여 글로벌 창업 진행(해외법인) |
||||||||||||
참여유형 | 예비창업대표(EL, Entrepreneurial Leader), 예비창업멤버(EM, Entrepreneurial Member), 창업지도자(PM, Project Manager), 기술지도교수/연구원(PI, Principal Investigator) 등 |
팀 구성 | EL, PI는 반드시 포함해야 하며 겸할 수 있음 EM, PM의 포함은 권장 사항임(최대 3명) |
연차 | 사업기간 | ||
사업단 | 예비창업팀 | 글로벌창업팀 | |
1차년도 | `17.04 ∼ `17.12 | (1기) `17.04 ∼ `17.07 | (1기) `17.08 ∼ `17.12 |
2차년도 | `18.01 ∼ `18.12 | (2기) `18.04 ∼ `18.07 | (1기) `18.01 ∼ `18.12 (2기) `18.08 ∼ `18.12 |
3차년도 | `19.01 ∼ `19.12 | (3기) `19.04 ∼ `19.07 | (1,2기) `19.01 ∼ `19.12 (3기) `19.08 ∼ `19.12 |
4차년도 | `20.01 ∼ `20.12 | - | (2,3기) `20.01 ∼ `20.12 |
5차년도 | `21.01 ∼ `21.12 | - | (3기) `21.01 ∼ `21.12 |
평 가 항 목 | 점수 | |
아이템의 창의성 | ·각 팀이 보유하고 있는 잠재력(연구성과에 대한 이해도 및 연구성과의 영향력) ·아이디어(기술)의 참신성 |
25 |
기술적 타당성 | ·창조적 결과물 창출 가능성, 제품(서비스) 구현 가능성 등 ·기술적 진입장벽이 높은가? |
30 |
시장성 | ·창업 계획의 적합성 및 성공 가능성 - 시장의 타당성, 규모, 성장성, 경쟁도, 확장성 등 |
15 |
팀 구성의 적절성 | ·팀 구성의 적합성 - 제품구현 및 창업을 위한 구성원의 역량 및 역할분담은 적절한가? |
20 |
기타 | ·소속기관의 지원 및 자원의 활용 가능성 | 10 |
소계 | 100 |
평 가 항 목 | 점수 | |
창업자의 역량 | ·글로벌 창업 및 사업화를 가능하게 하는 창업자(팀)의 역량이 우수한가? ·창업자금 조달을 위한 창업팀의 역량이 우수한가? |
20 |
사업계획의 적정성 | ·제품/서비스 개발 달성계획 등의 비즈니스모델(BM)의 구체성이 확보되어 있는가? ·글로벌 경쟁제품(기술)과의 차별성이 확보되어 있는가? |
20 |
기술성 | ·시장의 요구사항 파악 및 해결을 위한 기술적 대응이 충분한가? ·기술의 구현에 대한 현실성이 높은가? |
30 |
시장성 | ·시장 및 고객정의 결과물의 신뢰성 및 타당성 정도가 우수한가? ·시장진입전략의 구체성 및 타당성은 확보되어 있는가? |
20 |
기타 | ·해외현지 특허 확보 계획이 적절한가? ·해외 선진 바이오 기술 창업교육 평가 결과 ·해외현지 규제 등 법제도상 문제해결 방안은 제시되어 있는가? |
10 |
소계 | 100 |
연구주제 번호 | 2018-1-17 | ||||||||||
연구주제 | 바이오 유망기술 글로벌 창업 지원사업 (바이오기술 예비 창업팀) |
||||||||||
1. 연구목표 | |||||||||||
○ 바이오기술 창업팀의 창업 아이템의 고도화를 통한 창업 성공률 제고 ○ 핵심 인력 역량강화를 통한 기술성과의 글로벌 창업으로 연계 |
|||||||||||
2. 연구내용 및 범위 | |||||||||||
○ 바이오기술창업교육 프로그램 이수 및 멘토링 참여(멘티) - 바이오창업 기초교육 및 시장조사(국내: 2주) - 해외 선진 바이오 기술 창업교육(해외: 4주) ○ 제품·서비스 개발 계획 수립 등 창업아이템 구체화 - 선행기술조사, 시장조사 등 현황 분석 ○ 비즈니스 모델 수립 등 창업탐색활동 수행 및 사업계획서 완성 |
|||||||||||
3. 성과목표 | |||||||||||
○ 바이오기술창업교육 프로그램 이수 2건(국내, 해외) 및 멘토링 참여 3건 이상 ○ 기술 및 시장 분석보고서, 제품·서비스 개발 계획서 ○ 비즈니스 모델 및 사업계획서 |
|||||||||||
4. 특기 사항 | |||||||||||
○ 단위과제 형식으로 제안·지원하며,‘17년 선정 사업총괄과제(바이오아이코어 사업단)의 국내외 교육 및 사업화 활동 지원을 충실히 이행해야 함 ○ 예비창업팀 과제 수행기간은 4개월이며, 상대평가를 통하여 상위 2개 과제를 글로벌창업팀으로 선정, 총 3년간(2+1) 추가 지원함(과제당 연 3.1억 원 규모, 2020.12. 까지 예정) ○ 예비창업팀 과제 수행시 이수한 국내·외 교육 실적을 글로벌 창업팀 선정평가에 참고할 수 있으며 선정평가 발표시 예비창업자가 한국어 및 영어 중 선택하여 발표할 수 있음 ※ `17년 1기 예비창업팀도 글로벌창업팀 선정평가에 신청할 수 있음 ※ 멘토링 결과에 따라 예비 창업팀 간 결합을 통한 글로벌 창업팀 구성 가능 <글로벌 창업팀 추가 R&D 연구내용 및 성과목표>
|
|||||||||||
5. 2018년 예산 | 1차년도 4.8억 원 내외(4개월) 단위과제 12개 과제 내외(과제당 0.4억 원 내외) |
연구목표 | 연구내용 |
창업교육이수 및 멘토링 참여 |
• 바이오기술창업교육 프로그램 이수 및 멘토링 참여(멘티) - 바이오창업 기초교육 및 시장조사(국내: 2주) - 해외 선진 바이오 기술 창업교육(해외: 4주) |
창업아이템 구체화 | • 제품·서비스 개발 계획 수립 등 창업아이템 구체화 - 선행기술조사, 시장조사 등 현황 분석 • 비즈니스 모델 수립 등 창업탐색활동 수행 및 사업계획서 완성 |
연구내용 | ▪ 창업 아이템 고도화를 위한 추가 R&D - 제조공정 고도화, 시제품 제작 또는 전임상, 제품디자인 데이터 분석 ▪ 글로벌 창업기업 활동 프로그램 이수 |
성과목표 | <1단계> 2년 ▪ 글로벌 창업기업 활동 프로그램 이수 3회 ▪ POC(Proof of Concept) 검증 - 전임상 수준의 유효성 검증 또는 - 상용화 목적 시제품 제작 ▪ 해외 현지 특허 출원 ▪ 선정 후, 글로벌 창업을 통한 현지 진출 계획 수립 및 실시 <2단계> 1년 ▪ 글로벌 창업기업 활동 프로그램 이수 2회 ▪ 해외 현지 Grant 신청 |
< 바이오 아이코어 사업 프레임워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