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열전' 상하권·'천문 열전' 1, 2, 3 권

대덕넷에 수학자 열전을 연재하고 있는 최준석 작가가 과학자 62명을 인터뷰하고 기록한 물리 열전 상하권, 천문 열전을 시리즈 1, 2, 3권으로 출간했다.[사진= 사이언스북스]
대덕넷에 수학자 열전을 연재하고 있는 최준석 작가가 과학자 62명을 인터뷰하고 기록한 물리 열전 상하권, 천문 열전을 시리즈 1, 2, 3권으로 출간했다.[사진= 사이언스북스]
40여년간 국내외 취재 현장을 누벼 온 문과 출신 기자가 물리와 천문 분야 과학자 62명을 만나 인터뷰하고 기록한 책을 출간했다.

대덕넷(HelloDD)에 수학자 열전을 연재 중인 최준석 작가는 물리 열전 상하권과 천문 열전 시리즈 1, 2, 3권(출판사 사이언스북스)을 발표했다. 

최 작가는 정치부 기자, 해외특파원, 국제전문 기자, 시사 주간지 등에서 40여년간 생상한 현장 중심의 취재로 활약해 온 베테랑 기자다. 흔히 말하는 문송(문과라서 제송합니다)이다. 그는 뒤늦게 과학의 매력에 빠졌다. 2019년 과학 교양서에 대한 독후감을 모은 '나는 과학책으로 세상을 다시 배웠다'를 출간하면서 과학 짝사랑을 고백한 바 있다.

우리는 보통 과학자 하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스티븐 호킹 등 외국과학자들을 떠올린다. 이 책은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무엇을 연구하고 어떤 과학자들이 있을까하는 저자의 질문에서 시작됐다. 

저자는 앞서도 언급했듯이 문과 출신으로 과학에 문외한이라는 점이 취재의 장벽이기도 했다. 하지만 일반 대중의 시선에서 정곡을 찌르는 질문을 하고 팩트를 체크할 수 있는 강점이기도 했다. 해외, 지하 1000미터 아래 실험실, 중이온 가속기 등 연구현장이라면 어디라도 가리지 않고 찾아가 이야기를 듣고 기록했다.

물리 열전 상은 세상 만물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를 찾고 표준 모형의 한계를 넘기 위해 노력하는 입자 물리학자 24명의 인터뷰를 담았다. 물리 열전 하는 양자 역학을 바탕으로 반도체 같은 물질의 특성을 연구하고 실험하는 물질 물리학자 23명의 인터뷰 내용이다. 천문 열전은 우주의 기원과 블랙홀의 비밀을 추적하는 천문학자 15명이 등장한다. 62명의 각각 인터뷰 시간은 평균 4시간, 전체 248시간의 기록이다.

저자는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인터뷰이가 제공한 사진이나 도표 등 도 많이 넣었다. 과학자들을 전면에 내세워 우리나라 과학계를 이루고 있는 사람과 그들의 연구가 어떻게 이뤄지는지, 연구문화는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 간접 체험할 수 있게 했다.

물리 열전 상은 4부 24장으로 구성됐다. 1부는 암흑 물질을 탐색하는 과학자, 2부는 입자 가속기 분야 과학자, 3부는 중성미자를 탐색하는 과학자, 4부는 표준 모형의 빈틈을 메우고자 하는 과학자들이 소개된다. 물리 열전 하는 4부 23장으로 양자연구, 원자 이하 수준 물질 연구, 물질의 다양한 상태 연구, 난제로 꼽히는 핵융합 기술과 생물학과 융합한 과학자들을 만나 인터뷰 했다.

천문 열전은 4부 15장. 1, 2부는 초기 우주를 연구하는 천문학자부터 우주속 미스터리한 천체들과 그 이유를 찾는 연구자들이 주인공이다. 3부는 중력파, 인공위성, 새로운 망원경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우주를 관측하는 천문학자들, 4부는 고에너지 천문 현상을 파헤치는 천문학자들을 담았다. 

이 책은 물리와 천문 분야 과학자 62명의 삶이 소개하고 있어 우리나라 물리학의 계보와 역사를 은연중에 확인할 수 있다. 미국이나 유럽 등 국제적인 연구기관을 무대로 세계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물리학자, 천문학자들이 어떤 연구 인맥으로 세계 무대에 진출하고 지위를 갖고 유지하고 있는지도 알게 된다.

무엇보다 문과 출신의 기자가 일반 대중의 시선으로 쓰면서 과학에 전혀 관심이 없던 사람이라도 과학자들의 인생과 이야기를 통해 공통점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권 물리 열전 상
1부 보이지 않는 것을 보려는 사람들
1장 한국 최초 암흑 물질 실험을 만들다_ 김선기 서울 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
2장 윔프 찾아 양양 지하 발전소로 내려가다_ 이현수 기초 과학 연구원 지하 실험 연구단 부단장
3장 암흑 물질의 양대 후보, 액시온을 찾아라_ 정우현 기초 과학 연구원 액시온 연구단 연구원
4장 암흑 물질을 찾을 방법은 많다_ 박종철 충남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5장 윔프, 액시온, 심프? 진짜 암흑 물질은 무엇일까?_ 이현민 중앙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6장 입자 물리학의 세 가지 최전선_ 고병원 고등 과학원 물리학부 교수

2부 지구 최대의 과학 실험을 수행하는 물리학자들
7장 차세대 입자 충돌기, 꼭 만들어야 한다_ 김영기 시카고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8장 그 많던 반물질은 어디로 사라졌나?_ 권영준 연세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9장 빅뱅 후 기본 입자는 어떻게 만들어졌나?_ 윤진희 인하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0장 극한 환경에서 만들어진 핵물질은 어떤 모습일
까?_ 홍병식 고려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1장 CERN의 입자 검출기에 사용할 기계 장치를 만
들다_ 박인규 서울 시립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2장 양자 우주 속 새로운 대칭성을 찾는다_ 양운기 서울 대학교 물리 천문학부 교수
13장 입자 검출기용 초고속 카메라를 만든다_ 유인권 부산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4장 차세대 입자 가속기를 개발한다_ 정모세 울산 과학 기술원 물리학과 교수

3부 유령 같은 중성미자를 쫓는 물리학자들
15장 르노 실험으로 중성미자 진동의 마지막 열쇠를 
풀다_ 김수봉 전 서울 대학교 물리 천문학부 교수
16장 정선 지하 1,000미터에 들어선 물리학 실험실_ 김영덕 기초 과학 연구원 지하 실험 연구단 단장
17장 중성미자 검출 장치, 필드 케이지를 제작하다_ 유재훈 텍사스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8장 오른손잡이 중성미자는 어디로 갔을까?_ 강신규 서울 과학 기술 대학교 기초 교육 학부 교수

4부 궁극의 입자와 궁극의 힘을 찾아서
19장 무거운 쿼크 유효 이론을 만들다_ 최준곤 고려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20장 강력을 설명하는 격자 QCD 물리학_ 김세용 세종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21장 우주는 몇 차원 공간일까?_ 박성찬 연세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22장 블랙홀은 양자 중력 문제를 풀 수 있는 도구다 _ 김석 서울 대학교 물리 천문학부 교수
23장 중력파로 암흑 물질 찾는다_ 정성훈 서울 대학교 물리 천문학부 교수
24장 정밀 힉스 물리학으로 새로운 길을 연다_ 박명훈 서울 과학 기술 대학교 기초 교육 학부 교수

2권 물리 열전 하
1부 우리는 양자 세계를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을까?
1장 양자 컴퓨터 개발은 불가능하다?!_조동현(고려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2장 나의 40대, 양자 컴퓨터에 갈아 넣었다!_ 정연욱 성균관 대학교 나노 공학과 교수
3장 미세 자기장 측정하는 양자 센서 만든다_ 이동헌 고려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4장 슈뢰딩거 고양이를 진짜로 만들 수 있을까?_ 정현석 서울 대학교 물리 천문학부 교수
5장 원자를 이용해 얽힌 광자를 만든다_ 김윤호 포항 공과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2부 빛과 원자를 조종하는 물리학자들
6장 완전 무반사 원리, 실험으로 구현한다_ 박규환 고려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7장 나노 광학과 신경 과학을 융합하다_ 박홍규 고려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8장 녹슬지 않는 구리를 만드는 단결정 연구자_ 정세영 부산 대학교 광메카트로닉스 공학과 교수
9장 물질파를 만드는 실험 장인_ 김재완 명지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0장 원자를 얼려서 만든 초유체를 들여다본다_ 신용일 서울 대학교 물리 천문학부 교수

3부 진짜로 물질이란 무엇인가?
11장 강상관계 설명할 새로운 물리학 플랫폼_ 노태원 서울 대학교 물리 천문학부 교수
12장 삼성 전자의 1급 기밀, 유기 반도체의 제1전문가_ 박용섭 경희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3장 세계 최고 장비가 있어야 한국 물리학이 발전한
다_ 염한웅 포항 공과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4장 포스트 그래핀 ‘흑린’에 주목한다_ 김근수 연세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5장 스핀 소용돌이 입자 스‘ 커미온’을 파헤치다_ 한정훈 성균관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6장 위상 물질 물리학과 반도체의 미래_ 양범정 서울 대학교 물리 천문학부 교수
17장 양자 스핀 아이스와 쩔쩔맴의 양자 물리학_ 이성빈 카이스트 물리학과 교수 
18장 함께하면 달라지는 복잡계 물리학_ 김범준 성균관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4부 핵융합과 생명의 난제에 도전하는 물리학자들
19장 미래 에너지의 꿈, 핵융합 기술을 확보하라_ 유석재 한국 핵융합 에너지 연구원 원장
20장 야생마, 플라스마를 길들인다_ 김성식 한국 핵융합 에너지 연구원 이론 해석 연구팀 팀장
21장 핵융합의 미래가 그에게 달렸다_ 홍석호 제너럴 아토믹스 연구원
22장 생명의 분자를 관측하는 물리학자_ 김하진 울산 과학 기술원 바이오 메디컬 공학과 교수
23장 뇌 영상의 최전선을 오가는 물리학자_ 박혜윤 미네소타 대학교 전자-컴퓨터 공학과 교수 

3권 천문 열전
1부 우주 역사를 거슬러 가는 사람들
1장 노벨상이 틀렸다, 암흑 에너지는 없다__ 이영욱 연세 대학교 천문 우주학과 교수
2장 은하들은 왜 이런 모습일까?_ 이석영 연세 대학교 천문 우주학과 교수
3장 중성 상태의 우주를 재이온화시킨 것은?_ 임명신 서울 대학교 물리 천문학부 교수
4장 우주 급팽창의 직접적인 증거를 찾다_ 송용선 한국 천문 연구원 이론 천문 센터 연구원

2부 코스모스 속 미스터리 천체들
5장 중성자별끼리 충돌하니 지구만 한 금덩어리가 _ 이창환(부산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6장 거대 질량 블랙홀이 뿜어내는 제트가 미스터리_ 손봉원 한국 천문 연구원 전파 천문 연구 그룹 연구원
7장 거대 질량 블랙홀과 은하 진화_ 우종학 서울 대학교 물리 천문학부 교수
8장 행성의 요람에서 유기 분자를 발견하다_ 이정은 경희 대학교 우주 과학과 교수

3부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보다
9장 제2의 지구, KMTNet으로 찾는다_ 정선주 한국 천문 연구원 변광 천체 그룹 연구원 
10장 중력파, 천체 물리학 역사를 새로 쓴다_ 오정근 국가 수리 과학 연구소 중력 응용 연구팀 연구원 
11장 우주 망원경, 우리 손으로 직접 만든다_ 정웅섭 한국 천문 연구원 우주 천문 그룹 그룹장 
12장 세계 최초 위성 4대 편대 비행에 도전한다_ 황정아 한국 천문 연구원 태양 우주 환경 그룹 연구원

4부 우주 초거대 구조의 메시지
13장 우주는 거대한 입자 가속기?!_ 박일흥 성균관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4장 초고에너지 우주선, 어디에서 날아왔을까?_ 류동수 울산 과학 기술원 물리학과 교수 
15장 은하단 충격파가 만들어 낸 효과를 찾았다_ 강혜성 부산 대학교 지구 과학 교육과 교수

◆ 최준석 작가는
연세 대학교 신문 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 대학교에서 미시건 저널리즘 펠로로 공부했다. 1986년 《조선일보》기자로 언론계에 들어가 정치부 차장, 뉴델리 특파원, 카이로 특파원을 거쳐 국제 전문 기자로 일했다. 2010년에는 《주간조선》 편집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현재는 보건 의료 정책 월간 신문 《더메디컬》 편집 국장이다. 지은 책에 『간디를 잊어야 11억 시장이 보인다』, 『함두릴라, 알카히라』, 『인도 싫어하거나 좋아하거나』, 『나는 
과학책으로 세상을 다시 배웠다』가 있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과학자들을 인터뷰하는 「과학 연구의 최전선」시리즈를 《주간조선》에 연재했고, 지금은 수학자들을 만나며 《헬로DD》에 연재를 계속하고 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