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KISTEP '과학기술인력 중장기 수급전망' 발표…학·석사는 초과

과학기술인력 공급·수요도.
과학기술인력 공급·수요도.
오는 2022년까지 과학기술 분야의 박사급 인력이 수요보다 1만2000명 부족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반면 전문학사는 22만명, 학사는 19만7000명, 석사는 3만6000명이 초과 공급될 것으로 예측됐다.

28일 미래부(장관 최문기)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원장 박영아)은 '2013~2022 과학기술인력 중장기 수급전망'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향후 10년간 과학기술인력의 수요와 공급차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박사는 1만2000명 초과 수요가 발생하며, 전문학사·학사·석사는 각각 22만명, 19만7000명, 3만6000명의 초과 공급이 이뤄질 예정이다.

과학기술인력 전공별 공급·수요도.
과학기술인력 전공별 공급·수요도.
전공계열별로 살펴보면 전문학사와 학사는 모든 계열의 인력이 넘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석사는 농림수산학(500명), 박사는 공학(1만1000명)·농림수산학(400명)·이학(800명) 계열의 인력이 부족할 전망이다.

2022년까지 배출되는 과학기술인력은 약 153만2000명으로 예상된다. 전문학사는 50만1000명, 학사 72만7000원, 석사 23만2000명이 신규 공급될 예정이며, 공학계열이 이학에 비해 높은 공급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박사는 7만2000명이 공급되며, 이 중 공학계열이 2만9000명, 이학계열이 1만7000명, 의약학계열이 2만4000명 공급될 것으로 보인다.

인력수요 측면에서는 과학기술인력의 취업자 수는 2012년 180만5000명에서 2022년 242만1000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같은 기간 전문학사는 50만1000명에서 62만8000원, 학사는 103만명에서 128만9000명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장석영 미래부 과학기술인재관은 "과학기술인력의 총량 전망에서는 전문학사, 학사, 석사의 초과 공급이 예상되지만, 산업현장에서는 여전히 이공계 인력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며 "대학들은 산업계의 수요를 반영해 자율적인 특성화 전략을 수립해야 하고, 정부도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기존 산업·직업 분류에 근거한 과학기술인력의 총량 전망만으로는 융복합 시대에 미래 직업군에 대한 인력 수급 전망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향후 NT, IT, BT 등 미래유망기술별 수급 전망을 추가로 도출해 이공계인력 수급전망의 실횽성을 제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