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민 아주대·황욱렬 경상대 교수 공동연구팀 "인공심장 개발 활용 기대"

의약품 원료인 단백질, 항체, 호르몬 등을 생산하는 동물세포 배양기 내에서 세포손상을 막는 분석장치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정민근)은 김주민 아주대학교 교수와 황욱렬 경상대학교 교수 공동연구팀이 동물세포 배양기 내 산소기포 파열에 의한 세포 손상을 측정하는 미세유체장치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동물세포 배양기에서 세포를 배양할 때 필수적으로 공급되는 산소 기포는 표면에 닿으면 파열된다. 이때 발생하는 외력을 신장응력이라 하는데 세포 손상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신장응력 발생에 대한 정교한 유동제어 방법이 없어 세포 손상 정도를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생물 반응기에서 발생하는 신장유동 모사 모식도. 생물 반응기 내에서는 세포 배양에 필수적인 이산화탄소, 산소와 같은 기체가 공급된다. 이 기체 거품이 표면에 도달하면 왼쪽 위 그림과 같이 파열하며 신장유동이 발생하게 된다.<사진=연구팀 제공>
생물 반응기에서 발생하는 신장유동 모사 모식도. 생물 반응기 내에서는 세포 배양에 필수적인 이산화탄소, 산소와 같은 기체가 공급된다. 이 기체 거품이 표면에 도달하면 왼쪽 위 그림과 같이 파열하며 신장유동이 발생하게 된다.<사진=연구팀 제공>

김주민·황욱렬 공동연구팀은 신장응력에 의한 세포 손상을 측정하기 위해 미세유체장치를 제작했다. 미세유체장치는 높이 100μm 이하로 구성된 미세유로에서 일어나는 유동현상을 정밀 제어해 DNA, 단백질 및 세포 등을 분석할 수 있는 미세장치이다.

연구팀은 미세유체장치를 이용한 추가연구를 통해 기포 크기에 따른 세포 손상을 측정하고 세포손상을 최소화하는 특정 크기의 기포가 생성되는 제어기법을 개발했다.

또한 실제 세포 배양 생산성을 확인하기 위해 비교 실험을 진행했다. 이 결과 치료용 항체(IgG) 단백질의 경우 미세유체장치 결과를 도입한 배양기에서 기존 112mg 보다 향상된 126mg의 생산량을 확인했다.

유량에 따른 세포생사판별 시험 및 신장응력 결과. 위 그래프는 각 유량별로 신장유동을 격지 않은 통제집단(파란색 바)과 신장유동을 겪은 집단(빨간색 바)의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이 나타나 있으며, 또한 유량에 따라 신장응력 값이 표기되어 있다.<사진=연구팀 제공>
유량에 따른 세포생사판별 시험 및 신장응력 결과. 위 그래프는 각 유량별로 신장유동을 격지 않은 통제집단(파란색 바)과 신장유동을 겪은 집단(빨간색 바)의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이 나타나 있으며, 또한 유량에 따라 신장응력 값이 표기되어 있다.<사진=연구팀 제공>

미래창조과학부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 왕립 화학회 학술지 '랩 온 어 칩(Lab on a chip)' 2016년 신년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김주민 교수는 "미세유체장치는 사전에 세포 손상 조건을 확인할 수 있어 동물세포 배양기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