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중성자빔이용자협회, 9~13일 세계 중성자산란 학술대회 개최
세계 중성자 연구자들 과학동네서 만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사진=대덕넷 자료>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사진=대덕넷 자료>
각 국의 중성자 분야 연구자들이 과학동네에서 만나는 가운데 원자력연이 보유한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의 조속한 재가동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하재주)과 한국중성자빔이용자협회(회장 최성민)는 오는 9일부터 13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열릴  '세계 중성자산란 학술대회(ICNS) 2017'을 앞두고 5일 대덕특구 기자단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행사는 30여개국 150여개 기관의 과학자 800여명이 참석하며, 전문가 기조강연과 참석자간  '중성자산란(Nertron Scattering)' 분야 최신 연구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진행된다.

ICNS는 1982년 일본에서 처음 시작돼 미국과 프랑스, 영국, 독일 등 과학선진국을 중심으로 4년마다 열려왔다. 국내 유치는 일본에 이어 아시아에서 2번째다.

10일 기조강연에 나서는 히데오 호소노(Hideo Hosono) 박사는 철 기반 초전도체를 발견한 일본의 물질 과학자로 관련 내용을 발표한다. 팀 롯지(Time Lodge) 박사와 장 마리 타라스콘(Jean-Marie Tarascon) 박사는 고체화학 및 배터리 분야에 대해 강연에 나선다. 이외에도 세션별 발표와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중성자는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로 원자의 중심에서 양성자와 단단히 결합한 상태로 원자핵을 이룬다. 질량은 양성자와 비슷하지만 전하를 띠지 않는다. 중성자의 종류는 열중성자와 냉중성자가 있다.

중성자산란은 연구용 원자로(연구로) 또는 가속기 등을 이용해 생성된 중성자를 사용해 밀리미터(mm)부터 나노미터(nm) 크기까지 물질 구조를 세밀하게 분석하고 물질 특성을 연구하는 분야다.

이를 통해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기초과학에서부터 재료공학, 기계공학, 고고학 등 여러분야에 활용돼 중성자과학이라고도 칭한다.

중성자산란 연구를 통한 노벨상 수상도 다수다. 1935년 영국 제임스 채드윅이 중성자 발견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것을 비롯해 1936년 미국의 엔리코 페르미는 단면적 측정으로 노벨상을 받기도 했다.

우리나라는 원자력연의 하나로(HANARO)를 이용해 리튬 배터리 소재개발, 수소자동차 연료전기 개발, 자동차용 강판과 선박 강판 용접기술 개발, 국새품질 검증, 화장품 등 전문분야부터 일상생활까지 다양한 분야에 활용돼 왔다.

하나로는 국내 기술로 설계 건조했으며 1995년 첫 임계를 시작, 열출력 30MW급 고성능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다. 현재 8000여명의 연구자들이 하나로를 이용해 연구를 진행 해 왔다. 일본 후쿠시만 원전사고 이후 시설 보강 예산이 확보되면서 하나로는 지난 2014년 11월 일부 벽체 보강 공사를 위해 가동을 중지했다. 올해 4월까지 보강공사를 마무리한 상태다.

중성자빔이용자협회 회장을 맡기도 한 김만원 KAIST 교수는 "하나로 애용자다. 원자력연의 하나로 시설은 세계에서도 우수한 시설로 인정받는다. 이번 대회 유치에도 많은 기여를 했다"면서 "현재 3여년간 가동이 중지되며 그로 인한 손실도 크다. 이번 대회에 앞서 재가동되고 세계 과학자들에게 시설을 보여 줄 수 있기를 기대했는데 아직도 가동 중지 상태라 안타깝다"며 조속한 재가동을 기대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