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창·김신현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 제작
비용 절감, 성능 강화 등 기대

왼쪽부터 이도창 교수, 김신현 교수, 김다흰 연구원. 연구팀은 반도체 나노막대가 일렬로 배열된 수 nm 두께의 편광필름을 개발했다. 이 기술이 적용되면 디스플레이의 두께는 줄어들고 화면은 보다 선명해진다. <사진=KAIST 제공>
왼쪽부터 이도창 교수, 김신현 교수, 김다흰 연구원. 연구팀은 반도체 나노막대가 일렬로 배열된 수 nm 두께의 편광필름을 개발했다. 이 기술이 적용되면 디스플레이의 두께는 줄어들고 화면은 보다 선명해진다. <사진=KAIST 제공>
KAIST(총장 신성철)는 이도창·김신현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반도체 나노막대가 일렬로 배열된 수 nm 두께의 편광필름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기술이 적용되면 디스플레이의 두께는 줄어들고 화면은 보다 선명해진다. 

반도체 나노막대는 막대의 긴 방향을 따라 편광 빛을 내는 독특한 광학 특성을 지녔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막대한 빛 손실을 가져왔던 기존 편광판을 대체할 수 있는 나노소재로 꼽힌다. 

단일 나노막대의 편광 특성을 소자 면적의 필름에서 구현하려면 모든 나노막대가 한 방향으로 정렬된 뗏목 형태인 스멕틱(smectic) 자기조립 구조가 필요하다. 

수십 nm의 길이와 수 nm 두께의 나노막대를 대면적에서 정렬하기 위해서는 전기장을 유도하는 전극 기판 혹은 한정된 공간에서 입자를 조립할 수 있는 패터닝된 기판이 필요해 실제 소자 적용에는 어려움을 지닌다. 

연구팀은 문제 해결을 위해 공기-용액 계면과 나노막대 간의 인력, 나노막대와 나노막대 간의 인력을 순차적으로 유도해 단일 층 두께의 나노막대 스멕틱 필름을 제작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기판으로 사용한 공기·용액 계면을 용액 증발과 함께 제거할 수 있다. 조립 면적에 제한이 없어 소자 종류와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다. 

연구팀은 길이 30nm, 지름 5nm의 나노막대들이 수십 마이크로제곱 면적에 걸쳐 88%의 정렬도로 초박막 필름을 형성함을 확인했다. 또 계면과 나노막대, 나노막대와 나노막대 간 상호 작용력을 정량적으로 계산·비교함으로써 나노막대가 계면에서 조립되는 원리를 밝혀냈다. 

이번 연구성과는 디스플레이 분야에 활발히 적용될 전망이다. 소자 두께의 최소화, 비용 절감, 성능 강화 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김다흰 연구원은 "입자의 상호작용력 조절을 통해 단일 층 두께에서 나노막대 스스로가 방향성을 통제하며 고배열로 정렬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며 "외부 힘 없이도 더욱 정교한 자기조립구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줬다. 고배열, 고배향을 갖는 다양한 나노입자의 초박막 필름 제작, 필름 소자에 활발히 사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국제 학술지 '나노 레터스'(제1저자 김다흰 연구원)에 지난 달 소개됐다. 

나노막대 표면을 감싸고 있는 리간드 층 밀도에 따른 자기조립구조 모식도와 전자현미경 이미지. <사진=KAIST 제공>
나노막대 표면을 감싸고 있는 리간드 층 밀도에 따른 자기조립구조 모식도와 전자현미경 이미지. <사진=KAIST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