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석 경희대 교수, 복잡한 원편광 발광재료 설계 방법 한계돌파
센서, 통신, 보안 등 다양한 분야 응용 기대

디스플레이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켜 줄 새로운 발광재료 설계 방법이 제시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최석원 경희대 교수와 아라오카 후미토 일본 이화학연구소 박사 공동연구팀이 신개념 원편광 발광재료 설계지침을 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신개념 원편광 발광재료의 개념도 <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신개념 원편광 발광재료의 개념도 <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원편광은 원을 그리며 나선형으로 나아가는 빛으로, 디스플레이의 핵심요소인 외부 반사광 차단 필름을 통과할 수 있다. 그 결과 휘도가 높게 유지돼 디스플레이 발광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원편광을 이용하면 암호화 통신도 구현할 수 있어 센서, 통신, 보안 등에 응용도 기대된다.

하지만 원편광 발광재료의 제작이 복잡하고 어려워 연구에 제한이 있었다. 이에 지금까지는 시계·반시계 방향 중 한쪽으로 회전하는 원편광을 발산하기 위해, 발광재료도 입체발생 중심을 도입한 복잡한 광학 이성질체로 구성돼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있었다. 입체발생 중심은 원자 집단 2개를 상호 교환했을 때 다른 분자가 되는 점을 말한다.

공동연구팀은 분자의 자발적인 응집으로 형성되는 나선형의 짧은 섬유 가닥들 사이에 발광체를 도입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그 결과 입체발생 중심이 전혀 없는 분자들로만 구성됐음에도 원편광 발광현상이 관측돼 기존의 고정관념을 깼다.

최석원 경희대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원편광 발광재료 설계에 대한 상식이 깨졌다"라고 하며 "향후 이 연구 개념이 적용된 원편광 발광의 색변환 재료를 개발해 미래 디스플레이 산업에 기여하고 싶다"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기본연구)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6월 11일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