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인간 손재주 기원 밝혀
손 운동장애 재활, AI 연구 적용 기대

오른손잡이가 왼손으로 정교한 동작을 할 때 대뇌 양쪽이 활성화된다는 결과가 나왔다.

DGIST(총장 국양)는 안진웅 지능형로봇연구부 박사팀이 손 조작 솜씨를 설명할 단서를 찾았다고 16일 밝혔다. 

신체의 좌측과 우측은 각각 반대편 뇌 영역의 통제를 받는다고 알려졌다. 우뇌는 신체의 왼쪽, 좌뇌는 신체의 오른쪽 동작을 담당한다. 이를 대측성이라 한다. 

손을 사용해 정교한 작업을 수행하는 인간만의 특징도 대측성으로 설명될까. 연구팀은 오른손을 주로 쓰는 15명이 오른손과 왼손으로 복잡한 과제를 번갈아 수행하도록 했다.

이때 실험자들의 대뇌 피질 혈류 상태를 보여주는 신호를 검출해 오른손과 왼손을 사용할 때 나타나는 대뇌 피질의 양상을 관찰했다. 손 조작 솜씨가 뇌의 어느 부분에서 시작되는지 보여주는 단서를 찾기 위해서다.

실험 결과, 주로 사용하는 손(오른손)으로 복잡하고 섬세한 동작을 수행하면 좌측 대뇌 피질의 혈류만 활성화됐다. 여기서 복잡한 동작이란 쇠젓가락으로 콩을 집어 한쪽 통에서 다른 쪽 통으로 옮기는 것이다.

익숙하지 않은 손(왼손)을 사용할 경우, 우측과 좌측 대뇌 피질이 모두 활성화됐다. 연구팀은 대측성이 아닌 솜씨와 직접 관련 있는 우세한 뇌 영역이 대뇌 활동을 관장한다고 결론 내렸다.

안진웅 박사는 "유인원이 아닌 인간을 대상으로 실험했기 때문에 이번 연구 결과는 뇌질환 환자들의 작업 재활, 운동 신경조절 치료 등 임상 과정에 활용될 수 있다"며 "뇌의 시각 피질과 운동 피질을 모방한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데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10월 1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우세손인 오른손(Dominant right hand)은 대측성을 정확하게 보이나, 비우세손인 왼손(non-dominant left hand)은 양측성을 보인다. 영상화뿐만 아니라 시간 분석과 대측성 지표 평가 등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그림=DGIST 제공>
우세손인 오른손(Dominant right hand)은 대측성을 정확하게 보이나, 비우세손인 왼손(non-dominant left hand)은 양측성을 보인다. 영상화뿐만 아니라 시간 분석과 대측성 지표 평가 등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그림=DGIST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