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연구원, 신경아교세포 활성 조절 원리 규명
치매 치료제 활용 기대

한국뇌연구원 퇴행성뇌질환 연구그룹 연구원 (좌측부터 강리진, 허향숙(책임), 유가영, 이현주, 김성민, 남영표, 이상민, 박현희, 우한웅)<사진=뇌연구원 제공>
한국뇌연구원 퇴행성뇌질환 연구그룹 연구원 (좌측부터 강리진, 허향숙(책임), 유가영, 이현주, 김성민, 남영표, 이상민, 박현희, 우한웅)<사진=뇌연구원 제공>
한국뇌연구원(원장 서판길)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관련 뇌염증을 억제하는 물질을 발견했다고 5일 밝혔다.

그동안 신경과학계에서는 뇌염증이 치매 등 퇴행성뇌질환과 관련이 깊다고 보고돼왔다. 신경아교세포가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신경 손상과 기억력 퇴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는 것이 퇴행성뇌질환 치료의 주요 관심사다.

연구팀은 뇌염증이 유도된 동물모델에 만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다사티닙(Dasatinib)을 2주간 투여했다. 그 결과 신경아교세포 활성이 감소하고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또 알츠하이머 환자들의 혈액과 뇌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된 STAT3 단백질의 신호전달이 신경아교세포 내에서 억제되면서 뇌염증 반응이 저해됨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임상에서 효과 부족으로 실패한 약물 또는 시판 중인 약물을 다시 평가해 새로운 약효를 찾는 '신약 재창출 기법'을 통해 백혈병 치료제가 뇌염증 치료제로도 작용할 수 있다는 효능과 그 분자기전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허향숙 박사는 "후속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의 여러 병리기전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멀티타겟 약물로서 '다사티닙'의 가능성을 연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Neuroinflammation' 11월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