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호박 모양 분자 '쿠커비투릴' 사용
부산물 제거 장치 없이 생명체 고유 특징 모사

국내 연구진이 세포의 활동을 화학적으로 모방하는 데 성공했다.

IBS(원장 대행 김영덕)는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김기문 단장 연구팀이 호박 모양의 분자인 쿠커비투릴을 이용해 생체모사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생명체처럼 끊임없이 에너지를 받고 쓰며 항상성을 유지한다.

모든 생명체의 세포는 대사를 통해 에너지를 소모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부산물을 세포 내 기관을 이용해 밖으로 배출하면서 항상성을 유지한다.

초분자화학 분야에서는 생명체만의 특별한 활동을 근원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항상성 유지 시스템을 화학적으로 구현하려는 생체모사 연구를 해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모사체는 부산물을 내부에 축적해 항상성을 유지할 수 없다. 

연구진은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 자발적으로 제거되는 시스템을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 시스템에는 연구단의 전문 분야인 '쿠커비투릴' 분자가 사용됐다. 쿠커비투릴은 아미노산 유도체의 하나인 트립토판 유도체를 '손님'으로 인식하고 내부의 빈 공간으로 불러와 결합하려는 특성이 있다. 이를 주인-손님 복합체라고 한다. 이 복합체는 산성조건에서 자기조립을 통해 능면체 모양의 결정을 형성한다.

트립토판 유도체와 쿠커비투릴[8] 분자가 결합한 결정 구조. 파랑색을 질소, 빨강색은 산소, 회색은 탄소를 나타낸다. <그림=IBS 제공>
트립토판 유도체와 쿠커비투릴[8] 분자가 결합한 결정 구조. 파랑색을 질소, 빨강색은 산소, 회색은 탄소를 나타낸다. <그림=IBS 제공>
연구진은 이 복합체에 산성 물질인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에너지원으로 공급했다.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은 탈탄산 반응을 거쳐 이산화탄소와 클로로포름으로 분해된다. 기체인 이산화탄소는 공기 중으로 날아가고 끓는점이 낮은 클로로포름은 자연스럽게 용액에서 제거된다. 부산물을 제거하는 별도의 장치 없이도 스스로 주입된 에너지원을 소모하는 시스템이다.

공동교신저자인 백강균 연구위원은 "주인-손님 복합체 결정은 살아있는 세포,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은 에너지원, 탈탄산 반응은 대사과정으로 생각할 수 있다"며 "부산물을 제거하는 장치 없이도 살아있는 생명체가 가진 고유한 특징을 모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산성 물질이 모두 소모되면 복합체가 분해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는 에너지를 소모하며 형태를 유지하던 세포에 에너지 공급이 끊어지면, 세포막이 터지고 구성성분들이 흩어지는 것과 유사하다.

김기문 단장은 "'생명은 어디서부터 시작되는 것일까?'라는 질문에 화학적인 대답을 찾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다"며 "연료를 공급하는 동안에만 기능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재료와 인공세포를 구현하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독일응용화학회지(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10월 25일자 온라인 판에 속보로 실렸다.

복합체의 결정 변화를 관찰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 트립토판-쿠커비투릴 복합체는 에너지원이 공급될 때 결정을 이뤘다가 에너지원이 사라지면 분해된다. <사진=IBS 제공>
복합체의 결정 변화를 관찰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 트립토판-쿠커비투릴 복합체는 에너지원이 공급될 때 결정을 이뤘다가 에너지원이 사라지면 분해된다. <사진=IBS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