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로···'인체유래물은행 공동운영'
임상시험검체 확보 기간 절반으로 단축
"시장선점 중요한 의료기기 시장서 속도 낼 수 있을 것"

대전이 '바이오메디컬 규제특구'로 선정됐다. 인체유래물 확보를 위한 공동은행이 만들어져 벤처기업들의 검체확보가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사진=대덕넷 DB>
대전이 '바이오메디컬 규제특구'로 선정됐다. 인체유래물 확보를 위한 공동은행이 만들어져 벤처기업들의 검체확보가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사진=대덕넷 DB>
대전시가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다. 그동안 함께 준비해온 지자체, 지원기관, 기업, 병원 등 바이오 관계자들이 가졌던 지역발전과 삶의 질 개선이라는 절실한 염원이 결실을 맺은 셈이다.
 
이번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지정으로 대전은 바이오 집적지로서 연구개발, 사업화, 세계시장 진출 인프라 기반을 확고하게 마련했다는 평가다. LG생명과학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출신의 기업인, 20여 년간 축적된 경험, 깊이 있는 성과 등이 규제자유특구 속에서 제대로 꽃피울 수 있게 됐다.
 
바이오벤처들이 가장 기대하는 부분은 임상시험검체 확보가 수월해진다는 점이다. 기존에는 바이오기업이 연구개발한 체외진단키트와 진단 시약을 확인하기 위해 충남대와 을지대, 건양대가 가진 '인체유래물(혈액, 소변, 조직 등)은행'을 통해 검체확보를 하면서도 생명윤리위원회와 각 병원장의 허가를 거쳐야 했다. 여기에만 1년 이상 소요됐다.
 
하지만 자유특구지정으로 기간이 절반 이상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대형 병원들의 개별 인체유래물 은행이 공동운영되며 기업들이 필요한 임상시험검체를 신속하게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대전시 관계자에 따르면 3개 병원 관계자들을 주축으로 대전테크노파크 내 관련 위원회를 조직해 기업이 원하는 검체를 확보하고 정보 제공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검체 은행은 규제자유특구 기간(4년) 후에도 지속해서 운영될 예정이다. 
 
대전테크노파크 관계자는 "벤처기업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점이 인체유래물 확보다. 이번 특구지정을 준비하면서 병원들의 적극적인 협력이 있었고 앞으로 더욱 긴밀해질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바이오기업이 핵심은 병원과의 관계다. 병원은 검체 제공자이면서 임상 파트너, 제품 소비자다. 기업과 병원의 협력으로 활발한 연구개발을 통해 시민들의 건강한 삶, 지역발전에 기여하면서 바이오집적 도시 대전의 위상을 높여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대전시 관계자에 의하면 대전의 바이오기업은 해외로 갈 수 있는 제품, 치매나 암 등 국민의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제품, 축적된 경험에서 나오는 아이디어 등이 강점이다. 이번 규제자유특구 지정은 우선 체외진단 의료기기 중심이다. 체외진단 의료기기기는 혈액, 소변, 대변, 객담 등 인체검체물로 환자의 질병을 사전에 진단할 수 있다. 복용하거나 체내에 삽입하는 제품이 아니므로 위험성도 낮다는 분석이다.
 
대전시는 규제자유특구 지정에 가속화를 위해 바이오혁신생태계 구축에 예산 집중투입도 계획하고 있다. 대전시는 내년도 예산안으로 올해보다 17.9%(1조 297억원) 증액된 6조 7829억원을 편성해 바이오 창업 지원과 정밀의료기술, 나노소재 상용화 등의 내용을 담아 지난 11일 대전시의회에 제출한 바 있다.
 
◆ "지역성장과 시민들 삶의 질 향상 기대"

대덕 바이오 관계자들은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지정 소식에 환영의 목소리를 모았다.
 
대전에 뿌리를 내리고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유전자증폭기술(PCR)을 상용화한 바이오니아의 박한오 대표는 임상 시료의 활발한 활용으로 기업이 제품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의료기기는 누가 먼저 빠르게 상용화시키느냐에 따라 시장점유율이 달라진다. 이번 특구지정을 통해 신속하게 개발하고 검증할 수 있게 돼 세계시장 점유율 확장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세계시장과 경쟁 중인 자궁경부암 사전 예방 진단키트 개발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하면서 "입원하지 않고도 신속하게 검진과 치료를 할 수 있는 최첨단 기술을 통해 환자의 부담을 덜어주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미진 수젠텍 대표도 해외 진출 속도에 기대감을 표시했다. 그는 "체외진단은 이중규제로 말이 많았다. 시장에 나가는 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길었는데 앞으로 더 빨라질 수 있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전체 시장은 아니지만, 대전이라는 구역에서 빠르게 제품을 출시하고 시도한다면 해외시장 진출에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며 "제대로 운영해서 실질적인 결과가 나오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맹필재 바이오헬스케어협회 회장(충남대 교수)은 일부에서 갖는 우려를 염두에 둔 듯 자세히 설명했다.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면서 기업에서 개발한 제품이 시민들에게 바로 적용돼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냐는 일부 목소리도 있기 때문이다.
 
그는 "대전의 바이오 규제자유특구는 체외진단기 중심으로 사람의 몸속에 삽입되거나 복용하는 의약품이 아니다"면서 "사람의 몸에서 나온 혈액, 소변, 대변을 활용해 치매, 암 등 질환과 유전자 변형을 확인하는 것이다. 시민들의 건강한 삶에 기여할 수 있는 제품"이라고 말했다.
 
맹 회장은 특히 "기업에서 개발한 제품 중에도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제품만을 대상으로 한다. 2년 동안 하면서 그동안 과도한 법령을 개선하거나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지정에 이어 앞으로 운영하는 데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조군호 대전테크노파크 바이오융합센터장은 "대전의 바이오 산업은 뛰어나다. 이번 규제자유특구 지정까지 지자체, 병원, 기업의 공감대가 컸다"면서 "대전시를 중심으로 앞으로 아이를 키우듯이 서로의 의지와 협력이 더욱 필요하다는 마음을 같이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바이오벤처들이 대전으로 모이며 지역성장에 기여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정흥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는 "대전에는 정부출연연구원과 민간연구소 등 기술과 사람이 모여있을 뿐 아니라 최근 바이오벤처들이 자리를 잡으며 성장하는 등 다양한 성공적인 사례들이 도출됐다"며 "시의적절한 때에 특구가 지정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앞으로 바이오생태계를 어떻게 구성하느냐가 중요하다. 이번 계기를 통해 바이오벤처의 운영체계와 생태계 신뢰가 쌓여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우리 역시 그간의 경험과 전문성을 살려 특구지정에 동기부여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규제자유특구위원회는 지난 12일 대전 등 7개 지역을 규제특구로 지정했다. <사진=대덕넷 DB>
규제자유특구위원회는 지난 12일 대전 등 7개 지역을 규제특구로 지정했다. <사진=대덕넷 DB>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