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욱·이석원 뇌연구원 박사, 후두정피질 관여 사실 발견

한국뇌연구원 연구팀은 대뇌 후두정피질이 공포기억을 재발시키는데 기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기존 공포기억으로 인한 트라우마를 막을 수 있을 전망이다.<사진= 한국뇌연구원>
한국뇌연구원 연구팀은 대뇌 후두정피질이 공포기억을 재발시키는데 기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기존 공포기억으로 인한 트라우마를 막을 수 있을 전망이다.<사진= 한국뇌연구원>
공포 기억을 재발시키는 뇌 영역이 확인되면서 새로운 환경에서의 트라우마 치료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뇌연구원(원장 서판길)은 구자욱·이석원 박사 연구팀이 새로운 환경에서 공포기억 재발에 대뇌 후두정피질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후두정피질은 뇌의 뒤쪽 정수리에 있는 두정엽의 일부로 공간적 추론이나 의사결정 판단 등 고위뇌인지 기능에 관여한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는 심각한 사고, 폭력 등을 경험한 이후에도 반복적인 고통을 느끼는 증상이다. 환자들이 처음 사건 발생 장소와 비슷한 곳에만 가더라도 트라우마가 재발해 만성적인 고통을 겪는다. 세월호 참사, 대구 지하철 화재 등 국가적 재난을 겪은 생존자들이 새로운 배를 못 탄다거나 다른 지역의 지하철 타기를 꺼리는 것도 그 예로 알려진다.

연구팀은 실험을 위해 청각 자극과 전기충격을 동시에 줌으로써 공포기억이 생기도록 했다. 실험용 마우스에게 특정 소리를 들려준 뒤 전기 충격을 같이 줌으로써 청각 공포기억을 형성한 후 새로운 환경에서도 같은 소리를 들려줬다. 종소리를 들려주며 음식을 같이 주었던 '파블로프의 개'와 같은 조건화 학습 기억이다.

실험 결과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마우스는 두 장소 모두 똑같은 공포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약물을 처리하거나 빛을 쬐어 후두정피질의 활성을 억제한 마우스는 새로운 환경에서 공포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단 기존 장소에서 공포기억이 재발하는 것은 억제하지 못했다.

낯선 환경에서 공포기억이 재발하는데 후두정피질의 활성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이는 지각, 생각, 기억 등 고등 인지 기능을 수행하는 대뇌피질 중에서도 후두정피질 영역이 공간추론과 판단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는 게 연구팀을 설명이다.

연구팀 관계자는 "그동안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던 후두정피질의 역할을 새로이 규명했다"면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나 공포증 환자의 공포기억 재발을 막는 치료전략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Molecular Brain' 2월호에 게재됐다. 참여 저자는 주빛나(제1저자), 구자욱, 이석원(공동 교신저자)이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