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뇌줄기 세로토닌 반응성 신경 세포 역할 밝혀

KAIST가 성인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과도한 소금 섭취를 제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성공했다.<사진=KAIST 제공>
KAIST가 성인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과도한 소금 섭취를 제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성공했다.<사진=KAIST 제공>
KAIST(총장 신성철)는 손종우 생명과학과 교수팀이 성인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과도한 소금 섭취를 제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박시형 박사과정이 1저자로 참여했으며, 첸 리우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 교수와 공동연구한 결과다.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우리 몸의 체액은 혈액, 간질액 등을 포함하는 세포외액과 세포내액으로 구성돼 있다. 소금의 주요 성분인 나트륨 이온은 세포외액에 분포돼 삼투 현상에 의해 세포내액에 있는 수분을 끌어당긴다.

체내에 나트륨 이온이 과량 존재하면 혈액과 간질액의 부피가 증가해 혈압 상승, 부종 발생 등이 일어날 수 있어 적정한 수준으로 소금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신부전 등과 같이 체액량 조절이 중요한 질병이 있는 환자의 경우 과도한 소금 섭취가 치명적임에도 적절한 조절이 어려워 많은 의사와 과학자들이 소금 섭취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방법에 대해 고민해 왔다.

손종우 교수 연구팀은 중요한 신경 전달 물질 중 하나인 세로토닌의 기능에 주목했다. 뇌줄기 안에 있는 세로토닌 반응성 신경 세포가 평상시에도 활성화돼 있어 이 세포가 소금의 섭취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리고 세로토닌에 반응하는 현상을 재현하면 이 신경세포의 활성이 억제돼 소금 섭취가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했다.

최근 미국 연구팀 등이 체액량이 감소했을 때 활성화돼 소금의 섭취를 증가시키는 신경 회로를 제시한 바 있으나, 평상시 소금 섭취를 억제하는 메커니즘이 존재하고 이를 활용해 소금 섭취를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손 교수 연구팀이 최초로 발견했다.

손종우 교수는 "소금 섭취를 제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한 것으로 향후 고혈압, 신부전 등 과도한 소금 섭취와 관련된 각종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소금 섭취 욕구와 세로토닌 신경회로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했으나, 어떤 상황에서 세로토닌이 분비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아 이 부분에 대한 연구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손종우 교수.<사진=KAIST 제공>
연구를 주도한 손종우 교수.<사진=KAIST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