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매설물 지진피해 사전 대응책 도움 기대

2017년 포항 지진시 지반이 액상화 현상된 모습이다. 지진으로 인해 지반에 반복적으로 큰 힘이 가해질 경우 땅이 물렁해지거나 액체와 같은 상태로 변하는 '액상화 현상'이 발생한다. 액상화 현상은 많은 인명피해를 일으킨다. 이에 건설연이 '3차원 지진 액상화 위험지도'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사진=건설연 제공>
2017년 포항 지진시 지반이 액상화 현상된 모습이다. 지진으로 인해 지반에 반복적으로 큰 힘이 가해질 경우 땅이 물렁해지거나 액체와 같은 상태로 변하는 '액상화 현상'이 발생한다. 액상화 현상은 많은 인명피해를 일으킨다. 이에 건설연이 '3차원 지진 액상화 위험지도'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사진=건설연 제공>
지진으로 지반의 땅이 물렁해지거나 액체처럼 변하는 '액상화 현상'을 시각적으로 예측하는 시스템이 국내 최초로 개발됐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한승헌)은 한진태 인프라안전연구본부 지진안전연구센터 박사팀이 '3차원 지진 액상화 위험지도'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지도는 건설연이 현재 운영 중인 '국토지반정보포털시스템'과 연계해 사용 가능하다. 

액상화 현상은 건물과 구조물을 손상시키고 많은 인명재산피해를 일으킨다. 국내에서는 2017년 포항 지진 당시 액상화 현상과 관련된 피해가 보고된 바 있다. 

건설연이 개발한 위험지도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 각 지역별로 토양이 액상화될 위험성을 지도상에 입체적으로 표시했다. 건설연에 따르면 각 지역마다 토질이 달라 액상화 저항성도 지역별 차이가 있다.

먼저 연구자들은 지진으로 인해 지반에 발생하는 힘과 흙의 액상화 저항성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안전율을 산출했다. 지역별 액상화 저항성을 계산할 때에는 건설연이 구축해놓은 국토지반정보포털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했다. 이렇게 얻은 안전율 데이터를 지반 깊이별로 시각화하면 3차원 지진 액상화 위험지도를 작성했다.

연구진은 전국 약 29만여 공의 시추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관리하는 '국토지반정보포털시스템'에 연계해 위험지도를 운영한다. 기초정보를 함께 업데이트해 액상화 위험지도 정보도 빠르게 갱신해 나갈 계획이다.

이 외에도 건설연은 위험지도를 국토교통부 사업인 '지하공간통합지도'와 연계하는 연구도 진행한다. 지표면 아래 매설된 각종 상하수도나 통신장비 등의 지진 피해를 예측하고 사전 대책을 체계적으로 수립한다.

한진태 건설연 연구위원은 "국토지반정보포털시스템과 연계된 3차원 액상화 위험지도는 지하안전관리를 위한 3차원 지반정보와 융합해 관련 기술의 고도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지하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모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