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연구최전선 분석 '중국·미국 순' 연구 활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발병 이후 중국이 가장 활발하게 관련 연구를 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연구 비중은 진단과 신약에 집중돼있었다.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는 바이오아카이브(bioRxiv) 및 메드아카이브(medRxiv) 등 사전논문저장소에 올라온 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를 이같이 밝혔다. 최근 3개월간 연구논문을 과학계량학적 측면과 토픽 모델링, 알트메트릭 지수를 통해 분석했다. 

KISTI에 따르면 코로나19 누적 논문증가율은 64%다. 중국 56%, 미국 15%, 프랑스 10%, 영국 5%의 논문 점유율을 보인다.

연구내용에 있어서는 감염확산모델이나 역학특성 분석, 빠른 감염 확산세와 더불어 다양하게 쏟아지는 증례 중심의 임상특성연구가 대세로 나타났다.  바이러스 게놈분석,  항원 수용체, 항체 개발 등 진단이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 활동도 일부 나타났다. 최근 증가하는 분야는 딥러닝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역학특성 연구나 신약재창출 및 신약개발을 위한 스크리닝 연구 등으로 집계됐다.

KISIT가 사전논문저장소에 올라온 코로나19 연구논문 분석했다. 중국이 가장 많은 논문증가율을 보였고, 가장 주목하는 연구결과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생존기간으로 나타났다.<사진=KISTI 제공>
KISIT가 사전논문저장소에 올라온 코로나19 연구논문 분석했다. 중국이 가장 많은 논문증가율을 보였고, 가장 주목하는 연구결과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생존기간으로 나타났다.<사진=KISTI 제공>

국가별로는 중국이 역학/임상/진단/치료에 고르게 연구가 분포하고 있었다. 미국은 진단과 치료, 한국은 진단과 신약에 높은 비중을 보였다.

전 세계가 주목하는 연구결과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생존기간이었다. 이 외에  확산모델을 이용한 기초적 역학특성 연구, 바이러스 안정성, 공기전염 등 주목도가 높았다. 

특히 연구진은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가 급격히 변화하고 있음에 주목했다. 아카이브, 깃허브(컴퓨터 프로그램 소수 공유 및 협업해 개발하는 웹 호스팅 서비스)등을 통해 빠르고 다양한 의사소통채널을 구축하고 있고, 연구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공유 및 분석결과물을 제공하는 기관이 늘어나고 있음이 확인됐다.

손은수 책임연구원은 "코로나19에 대한 아카이브 데이터의 주목도는 기존에는 볼 수 없었던 매우 높은 수준"이라며 "비약물적 중재의 강조 등 아직까지는 전파와 임상증례 등에 주목도가 높지만, 진단과 치료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이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빅데이터 기반 과학기술 이슈분석채널인 KISTI DATA INSIGHT 에 전문이 수록되어 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