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17일 '코로나 이후 과학기술 정책방향(안)' 발표

과기부는 17일 포럼을 통해 '코로나 이후 과학기술 정책방향(안) 주요 내용'을 발표했다. <사진=김지영 기자>
과기부는 17일 포럼을 통해 '코로나 이후 과학기술 정책방향(안) 주요 내용'을 발표했다. <사진=김지영 기자>
코로나19 이후 과학기술 정책에도 변화가 생길 전망이다. 과학기술 중심 국가적 위기대응을 위해 출연연에 위기상황별 거점연구기관을 지정하고 사전감시 및 대응연구를 추진한다. 전문가를 통해 나온 분석자료를 공유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위기 해결 시나리오도 마련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17일 '코로나 이후 환경변화 대응 과학기술 정책포럼'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코로나 이후 과학기술 정책방향(안) 주요 내용'을 발표했다. 
 
과기부는 코로나 이후 환경변화와 전망을 토대로 5개 주요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기술‧R&D) 미래 선점투자와 R&D혁신으로 변화의 기회 선도 ▲(산업‧지역) 산업의 디지털 전환 대응·자생력 강화 ▲(인재‧교육) 디지털 시대에 맞는 인재‧교육시스템 재설계 ▲(위기대응‧소통) 과학기술이 중심이 되는 국가적 위기대응 ▲(리더십) K-방역의 기회 활용, 과학기술 글로벌 리더국가 도약이다.
 

과기부는 코로나 이후 환경변화와 전망을 토대로 5개 주요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사진=과기부 제공>
과기부는 코로나 이후 환경변화와 전망을 토대로 5개 주요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사진=과기부 제공>
먼저 '미래 선점투자와 R&D혁신으로 변화의 기회 선도'를 위해 'R&D 파이시스템'을 투입할 계획이다. 해당 시스템은 얼마나 빠르게 시장으로 진입할 수 있는지 따져 투자전략을 마련하는 모델로, 적극 활용해 부족한 부분없이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우리나라 4만개 이상 등록된 기업부설연구소 등을 통해 민간주도 R&D 혁신체제로 전환한다. 비대면·원격서비스, 바이오헬스 등 코로나 이후 시장·활용 확대가 전망되는 기술에 대한 선점 투자와 처음부터 민간이 주도하는 R&D체제로의 전환을 통해 시장이 원하는 기술을 창출해 나간다.
 
국가를 대표할 연구팀과 전문기업도 육성한다. 지역별로 혁신을 주도할 코디네이터를 지정해 전주기 지원정책을 연계 조정한다.
 
인재배출보다 배출 이후 성장할 수 있는 경로 마련에도 힘쓴다. 졸업생 대상 리커런스 (반복)교육을 강화하고 지역중심으로 지역대학과 인근 대학, 기업 연계하는 비 학위 전문교육과정을 운영 지원한다.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경력전환을 위해 교육프로그램을 만들고 이수한 고경력과학자가 취업할 수 있는 매칭 플랫폼도 제시한다. 대학연구중심 포닥 외에 산업 중심 포닥 경로도 마련한다.
 
위기가 발생하기 전 사전에 대응체계 마련에도 힘쓴다. 코로나19와 같은 국가적 위기상황을 'X이벤트'로 생각하고 사전예측 연구를 수행한다. 모의훈련을 통해 상황 발생 시 정책과 기술적대응 방안 시나리오를 준비한다. 특히 각 고유분야를 가진 출연연을 주요 위기상황별 거점연구기관으로 지정해 사전감시 및 연구를 강화한다. 분석자료 등을 공유하고 논의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K-방역을 통해 높아진 우리의 국제사회 위상을 활용해, 국제공조의 주도적 제안과 바이오 수출 확대 등 과학기술외교·협력체계 정비를 통해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할 예정이다.
 
임요업 과기부 과학기술정책과장은 "오늘 발표하는 안은 그동안 추구한 (과기정책)방향을 유지하면서 미흡한 부분을 추려보완할 계획"이라며 "구체적 실행방안은 추후 의견수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