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피인용 0.01%·혁신적 공헌 연구자 분석해 분야별 선정
나노입자의 표준합성법 등 응용성 확대한 공로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IBS 나노입자 연구단 단장)가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에서 선정하는 노벨상 수상 유력 후보 24명에 올랐다.<사진=IBS>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IBS 나노입자 연구단 단장)가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에서 선정하는 노벨상 수상 유력 후보 24명에 올랐다.<사진=IBS>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IBS 나노입자 연구단 단장)가 정보서비스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예측하는 '2020 노벨상 수상 유력 후보자'에 올랐다. 크기가 균일한 나노입자를 대량 합성할 수 있는 '승온법' 개발로 나노입자의 응용성을 확대한 공로다.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23일 물리, 화학, 생리, 의학, 경제학 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이 유력한 전세계 연구자 24명을 선정해 발표했다.

선정 기준은 논문의 피인용 빈도가 상위 0.01%이내이면서 해당 분야에 혁신적 공헌을 해온 연구자가 대상이다. 2002년부터 2019년까지 선정된 연구자 중 54명이 실제로 노벨상을 받았다. 이중 29명은 2년내 노벨상을 수상했다. 한국 연구자의 이름이 명단에 들어간 것은 이번이 세번째다.

현택환 교수는 20년 넘게 나노과학 분야를 연구해온 세계적 석학으로 손꼽힌다. 지금까지 발표한 400편 이상의 논문은 선도적 논문으로 평가된다. 7편의 논문은 1000회 이상 인용됐다. 화학분야에서 1000회 이상 인용된 논문 수는 전체 논문의 약 0.025% 수준이다.

이번 선정에는 '나노입자를 균일하게 합성할 수 있는 표준 합성법 개발' 관련 성과가 주요한 근거가 됐다. 현 교수는 새로운 접근으로 원하는 크기의 균일한 나노입자를 만들어 낼 방법을 고안해 냈다. 기존 방식으로 나노물질을 합성하면 입자의 크기가 저마다 다르게 생산돼 필요한 크기의 입자만 골라 사용해야 했다. 현 교수는 다양한 시도 끝에 실온에서 서서히 가열하는 승온법(heat-up prosess)으로 바로 균일한 나노입자 합성에 성공했다. 이 연구결과는 2001년 미국화학회지(JACS)에 게재됐으며 현재까지 1660회 인용됐다.

현 교수는 승온법의 산업적 응용을 위한 원천기술도 개발했다. 균일한 나노입자의 대량 합성 방법을 개발해 2004년 12월 네이처 머터리얼스에 발표했다. 그의 논문은 3000회 인용됐으며 현재 전세계 실험실과 화학공장에서도 표준 나노입자 합성법이 널리 쓰이고 있다.

2012년부터는 IBS(기초과학연구원)에 합류해 나노입자 연구단을 이끌고 있다.

현 교수가 나노과학을 시작한 것은 1997년 서울대 교수로 임명되면서부터. 미국 박사과정에서 연구해왔던 분야가 아닌 새로운 분야에 도전해보자는 결심에서다. 그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무기화학 석사,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대학원에서 무기화학 박사를 취득했다.

현택환 교수는 "이번 선정은 묵묵히 함께 연구해온 제자들과 공동연구를 수행했던 동료과학자들의 도움, 장기간 한 분야에서 꾸준히 연구할 수 있었기에 가능한 영예"라며 "연구자를 믿고 중장기적으로 지원해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서울대, IBS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IBS 소속으로 노벨상 수상 유력 후보에 이름을 올린 연구자는 2014년 유룡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장, 2018년 로드니 루오프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장, 2020년 현택환 나노입자 연구단장 등 3명이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