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급속 충전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튬 이온 전지 개발
"전기 자동차·드론 등 모든 전자 전자기기에 활용 기대"

(왼쪽부터) 강정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김기환 KAIST 신소재공학과 박사과정 사진. [사진=KAIST]
(왼쪽부터) 강정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김기환 KAIST 신소재공학과 박사과정 사진. [사진=KAIST]
국내 연구진이 우수한 성능의 급속 충전이 가능한 고에너지 고출력 하이브리드 리튬이온 전지를 개발했다. 배터리용 음극과 축전기용 양극을 결합해 높은 저장 용량과 빠른 충전이 가능한 이 전지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로 급속 충전이 가능해 전기 자동차·드론·스마트 전자기기 등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총장·이광형)는 강정구 신소재공학과 연구팀이 급속 충전이 가능한 고에너지·고출력 하이브리드 리튬 이온 전지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고분자 수지 배향 변화를 통해 형성된 다공성 탄소 중공 구조체 기반의 음극·양극 재료의 합성과정 모식도 사진. [사진=KAIST]
고분자 수지 배향 변화를 통해 형성된 다공성 탄소 중공 구조체 기반의 음극·양극 재료의 합성과정 모식도 사진. [사진=KAIST]

연구팀은 고분자 수지 배향의 변화를 통해 넓은 표면적의 다공성 탄소 중공 구조체를 합성했다. 이를 기반으로 음극·양극 소재를 개발해 고성능 하이브리드 리튬 이온 전지 구현에 성공했다.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는 대표적인 상용화 에너지 저장 장치로, 스마트 전자기기부터 전기 자동차까지 전반적인 전자 산업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제2의 반도체'라고 불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느린 전기화학적 반응 속도와 전극 재료의 한정, 특성에 의해 낮은 출력 밀도와 긴 충전 시간, 음극·양극의 비대칭성에 따른 큰 부피 등 근본적인 한계로 인해 고성능 전극 재료와 차세대 에너지 저장 소자의 개발이 필요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하이브리드 전지를 연구했다. 하이브리드 전지는 배터리용 음극과 축전기용 양극을 결합해 높은 저장 용량과 빠른 충·방전 속도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하지만 고에너지 및 고출력 밀도의 하이브리드 전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용 음극의 전기 전도성과 이온 확산 속도 개선, 축전기용 양극의 에너지 저장 용량 증가 등 서로 다른 이온 저장 메커니즘에 따른 두 전극의 최적화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연구팀은 고분자 수지의 배향 변화를 통해 넓은 표면적을 가진 다공성 탄소 구조체를 합성할 수 있는 새로운 합성법을 제시했다. 아울러 이를 기반으로 음극·양극 소재를 개발해 고에너지·고출력의 하이브리드 리튬이온 에너지 저장 장치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레졸시놀-폼알데하이드(Resorcinol-Formaldehyde) 수지 합성 과정에 멜라민(Melamine)을 첨가해 수지의 배향을 선형에서 꼬인 형태로 변화시켰다. 그러자 꼬인 형태의 수지가 탄화(carbonization)될 경우 더 많은 마이크로 가공이 형성됐다. 또한 기존 선형 구조의 수지로 생성된 탄소 구조체보다 12배 넓은 표면적을 가진 탄소 구조체가 생성됐다. 

이 과정을 통해 생성된 탄소 구조체는 축전기용 양극 재료로 사용됐으며, 넓은 표면적으로 많은 이온이 표면에 흡착될 뿐만 아니라 중공 구조 및 메조 기공을 통해 이온이 빠르게 확산할 수 있어 높은 용량과 속도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더불어 꼬인 형태의 수지 구조체 내 높은 에너지 저장 용량을 가진 저마늄(Ge) 전구체를 삽입하는 합성방식을 통해 분자 수준 크기의 저마늄 입자가 삽입된 탄소 중공 구조체를 합성해 이를 배터리용 음극 재료로 사용했다.

저마늄 입자의 경우 충·방전 시 큰 부피 팽창으로 인해 성능 저하 현상을 억제할 뿐 아니라 내부까지 빠르게 리튬 이온이 확산할 수 있어 높은 수명·속도 특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

강 교수는 "전극기준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285Wh=/kg)를 가지며, 고출력 밀도(22600W/kg)에 의한 급속 충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튬 이온 전지는 현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KAIST 신소재공학과 김기환 박사과정이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의 국제 저명학술지 'ACS 나노'에 4월 4일 게재됐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글로벌프로티어사업의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미래소재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하이브리드 리튬 이온 전지 모식도와 소자 특성 구현 사진. [사진=KAIST]
하이브리드 리튬 이온 전지 모식도와 소자 특성 구현 사진. [사진=KAIST]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