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국정과제 '디지털 바이오 육성, 바이오 대전환'
전자약 등 초기단계 기술 선점 범부처 프로젝트 추진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 구축, 바이오 R&D 속도 낸다

인수위가  새 정부의 국정과제로 '바이오 대전환 대응을 위한 디지털 바이오 육성'을 발표했다. [사진=인수위]

차기정부가 바이오 R&D 속도를 내기 위해 '디지털 바이오 R&D 패러다임'을 내세웠다. 세금이 투입된 바이오 R&D 데이터는 전부 공개해 협업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다. 전자약·디지털치료제, 차세대 유전자 시퀀싱 등 초기단계에 있는 기술 선점을 위한 범부처 프로젝트도 추진할 계획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과학기술교육분과는 28일 브리핑을 통해 새 정부의 국정과제로 '바이오 대전환 대응을 위한 디지털 바이오 육성'을 제안했다. 실천과제는 ▲부처적인 바이오 데이터의 축적‧공유‧활용 플랫폼 구축 및 고도화 ▲AI, 빅데이터 등을 접목하여 연구효율 및 생산성 제고 ▲디지털 바이오 유망기술 집중 육성으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및 신시장 선점 ▲정부와 민간이 협력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 및 연구 기반 확충 등 4가지다. 

인수위의 실천과제 핵심은 불확실성, 장기간 소요, 대규모 투자 등 바이오 R&D고질적 한계를 극복하고 전방위적으로 영향력이 확대되는 바이오를 혁신해 국가 경쟁력 열쇠로 만드는 것이다. 

남기태 과기교육분과 위원은 "기존의 신약개발은 평균 15년, 1조 원 이상 소요되며 1만개 후보물질 중 1개의 신약이 나오지만 AI와 빅데이터에 기반한 신약개발 플랫폼을 개발하면 신약 후보물질 확보까지 1년 이내로 단축가능하다"며 디지털바이오 R&D 패러다임으로 빠르게 전환해야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인수위는 첫째로 국가적인 바이오 데이터 공유 및 활용체계 구축을 위해 정부와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국민 세금이 투입된 R&D에서 생산된 모든 데이터는 공개를 원칙으로 공유 체계를 구축한다. 

남 위원은 "이미 축적된 많은 바이오데이터 허브가 존재한다. 이 데이터들이 서로 연동되도록 정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번째는 신약개발 시간 단축을 위한 AI와 빅데이터 접목 R&D 플랫폼 구축이다. 암, 치매, 발달장애 진단 등 바이오분야 난재해결을 목적으로 데이터 활용을 우선 발굴 지원한다. 

세번째로 바이오분야 새로운 연구와 산업을 창출하기 위해 범부처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합성생물학, 전자약‧디지털치료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차세대 유전자 시퀀싱 등초기단계에 있는 기술 선점이 우선 추진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우수한 바이오 기초·원천연구성과가 사업화돼 시장으로 진출확대될 수 있도록 '신약 및 신기술 스케일업 플랫폼'을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민간이 협력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 바이오 대전환에 대응하는 핵심과제를 도출하고 바이오 혁신전략 수립 및 관련 법제도 정비를 추진한다. 

남 위원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바이오 R&D 체계가 성공적으로 이행된다면 바이오 산업의 효율성과 생선성을 높이는 것 뿐만아니라 다른 분야(화학, 소재, 에너지, 탄소중립 등)에 바이오 생산기술 접목으로 기존 제조산업의 한계를 극복하는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가 실천할 수 있는 정책과제를 구체화 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