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AR 전사인자 활성화 물질 개발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고령화 사회에서 발병률이 늘고 있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이다. 하지만 뚜렷한 원인을 모를뿐더러 치료제 역시 단순히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로 여전히 환자와 그 가족은 많은 어려움을 호소한다. 

POSTECH(포항공과대학교·총장 김무환)은 김경태 생명과학과 교수팀이 페록시솜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PPAR)를 활성화시키는 물질을 개발,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 가능성을 열었다고 10일 밝혔다.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는 뇌 조직에 비정상적인 단백질 응집체가 만들어지고, 만성 염증반응에 의해 신경세포가 손상되면서 인지 기능과 기억력이 감퇴된다. 최근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제3형 당뇨병으로 불리며 대사질환과의 연관성이 보고되기도 했다. 지방이 과하게 쌓여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 대사 작용에 이상이 생기고 만성염증이 늘어나는데, 이런 현상이 노화와 함께 작용하면 뇌 조직에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 형성을 가속화해 신경세포를 손상시킨다는 것이다.

이에 연구팀은 비만이나 이상 지질 혈증, 당뇨의 치료 표적으로 연구됐던 PPAR에 주목했다. 컴퓨터 가상 스크리닝과 세포 기반 스크리닝 기법을 동시에 이용한 약물 개발 플랫폼으로 소분자 화합물을 개발하는 데 성공, 실제 PPAR 단백질과의 결합을 확인함으로써 PPAR의 활성 물질임을 입증했다. 

DTMB 약물 투여에 따른 뇌조직 내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체 양 변화.[사진=POSTECH]
DTMB 약물 투여에 따른 뇌조직 내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체 양 변화.[사진=POSTECH]
연구팀은 화합물을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걸린 마우스 모델에 3개월 경구 투여한 결과, 치매로 인해 떨어진 기억력·인지 기능이 정상 마우스 모델만큼 회복된 것을 확인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뇌 조직에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체와 신경 교증 또한 줄어들었다. 

또 연구팀은 뇌 조직 내 면역세포에서 아밀로이드 베타 펩타이드로 인해 나타나는 만성 염증이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 노태영 POSTECH 교수팀의 도움으로 염증관련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었음을 밝혔고, 경북대 약대 송임숙 교수팀에 의해 약물이  뇌-혈관 장벽을 투과해 뇌 조직으로 전달됐음을 확인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혁신 신약개발 업체 노브메타파마와 공동연구했다. 연구내용은 국제 학술지 뉴로테라퓨틱스에 지난 2일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