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우주개발 로드맵 기반 부처 협력 이끌어야"
"초대 수장, 항우연 출신·교수 아닌 기업인, 해외전문가"
"항우연 헤게모니, 열정페이로는 뉴스페이스 불투명"
"분야별 연구진 기업에 파견, 기술 이전 속도내야"

대한민국의 뉴스페이스 시대를 이끌 우주청 설립이 속도를 내고 있다. 젊은 우주분야 연구자들이 우주청의 역할, 초대 수장 적임자에 대해 목소리를 냈다.[사진= 클립아트코리아]
대한민국의 뉴스페이스 시대를 이끌 우주청 설립이 속도를 내고 있다. 젊은 우주분야 연구자들이 우주청의 역할, 초대 수장 적임자에 대해 목소리를 냈다.[사진= 클립아트코리아]
대한민국의 우주시대를 이끌 우주항공청(이하 우주청) 설립이 속도를 내는 가운데 우주청 역할과 초대 수장 적임자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9일 열린 과방위 전체회의에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연내 우주청 설립 관련 특별법을 상반기 중 국회에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우주청은 과기부 산하 조직으로 출범하게 된다. 물론 의사결정은 국가우주위원회에서 맡게 된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여럿이다. 과기부, 산업부, 국토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등 우주분야 활용이 확대되고 있어 과기부 산하기관으로 부처간 조율이 가능하겠느냐는 것이다.

초대 수장에 대한 의견도 설왕설래가 다수다. 복수의 과학기술계에 의하면 항우연 원장 출신들이 우주청 수장 자리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앞으로 우리나라 우주개발을 이끌 젊은 우주인들이 보는 우주청의 역할,  초대 수장 적임자는 어떤 인물일까. 우주분야 연구개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대학과 기업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젊은 우주인들은 의견을 들어보았다.

◆ 우주청 역할, 로드맵 통한 협력

"과기부 산하 기관으로 시작하더라도 중장기적으로 부처간 조율이 안될 경우 독립이 필요하다. 대통령이나 국무총리 직속으로 가야할 필요도 있다. 국가우주위원회에서 결정권을 갖는다고 하는데 위원 대부분은 다부처 관리들이 파견돼 온다. 협력이 어려운 구조로 자칫 탁상공론에 그칠 수 있다."

젊은 우주인들은 우주청이 우리나라 우주기술을 로드맵을 분명히 하며 전 부처를 아우를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다부처에서 우주분야를 활용하는만큼 로드맵을 통해 연구개발이 이뤄지고 예산이 투입돼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한 연구자는 "우주분야 활용이 확대되면서 과기부, 산업부, 방사청 등 각자 추진하고 있다. 역할이 분담되거나 조율도 없는 상황"이라면서 "특히 국방 분야는 예산 투입이 가장 많은데도 예타 평가도 없이 비닉(비밀사업)사업으로 추진된다. 그냥 묻지마 사업으로 우주분야 연구개발이 진행된다. 다른 부처와 협력할 수 있는 여건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나라에서 과기부 장관이 국방부 장관에게 어떻게 이야기를 할 지 걱정되는게 사실"이라면서 "과기부 산하에 우주청이 들어서면 이런 부분을 어떻게 할지 역할을 분명하게 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그들이 보는 우주청의 역할은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경제를 살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모델로는 미국의 기업 스페이스 엑스를 꼽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민간에서 우주분야에 집중투자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우선 정부에서 투입해야한다고 조언한다..

"미국 NASA에서 예산을 투입해 민간의 기술을 육성했듯이 우리나라도 정부 예산을 통해 우주기술 기업의 기술을 키울 수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 우주예산의 90%는 정부에서 나온다. 그 예산의 90%는 항우연(예산의 60%규모는 기업으로 다시 나간다)으로 들어갔다."

젊은 우주인들은 "우주예산의 90%가 정부에서 나오는데 이를 잘 관리해야 한다. 이를 통해 우주산업체가 잘 육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우주청이 달 탐사, 소행성, 발사체 등 국가 우주 로드맵에 따라 부처간 협력할 수 있게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들은 "항우연의 역할 재정립도 필요하다. 항우연이 발사체, 위성, 우주탐사 분야 조직을 특성에 맞춰 우주청 밑에 두는 것도 방법"이라면서 "우리나라 우주산업이 발전하려면 파견식으로 분야 인력이 산업체에 갈 필요도 있다. 발사체, 위성 개발은 설계 과정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회의를 자주 한다. 가까이 있을수록 회의하며 자연스럽게 기술이 이관된다"고 말했다.

젊은 우주인들은 협력이 실제적으로 이뤄지길 기대했다. 그들에 의하면 그동안 연구현장에서 연구개발이 제각각 이뤄지며 협력의 어려움이 제기돼 왔다. 젊은 우주인들은 "항우연, KAIST인공위성연구소 간에도 협력이 어려웠던게 사실이다. 서로 각자 잘하면 된다는 생각으로 해왔다"면서 "하지만 우주청이 생기고 우주 연구개발이 여러 기관에서 이뤄지고 있어 우리만 잘하면 된다는 생각이 맞지 않다. 이 부분에 이의를 제기할 분은 없을 것이다. 부처, 기관 간 협력을 위해 우주청이 그 역할을 잘 해야한다"고 역설했다.

이들은 또 "그동안 항우연이 한국의 NASA로 역할을 잘 해왔다. 연구자들도 자부심으로 기꺼이 열정을 불태웠다"면서 "하지만 그러면서 항우연의 헤게모니가 강해진 것도 있다. 이젠 우주청 아래로 항우연이 소속될지 모르겠으나 전문분야별로 헤쳐 모여도 필요해 보인다. 그리고 연구진에게 열정페이를 강조하는 것으로는 안된다"고 조언했다.

◆ 우주청 초대 수장 적임자는

"우주청 초대 수장으로 항우연 출신, 60대의 대학 교수가 와서는 안된다. 항우연 출신은 항우연의 헤게모니를 넘지 못하고 현재 빅마우스 대학 교수는 현장을 전혀 모른다."

젊은 우주인들이 기대하는 우주청 초대수장은 우주연구개발 현장 경험을 가진, 그러면서 항우연의 헤게모니에 휘둘리지 않을 인사다. 

그들은 "우주청, 우주분야 빅마우스로 60대 교수진의 목소리가 많이 들어간다. 그들은 현장 경험이 없다. 그들의 견해를 다 제외하라는 것은 아니지만 40, 50대 현장 경험이 있는 분들의 목소리를 담아야 한다"면서 "항우연 헤게모니와 상관없는 연구개발 현장을 아는 기업인, 외국 우주개발 현장 경험이 있는 40, 50대 전문가가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들은 "항우연은 30년 전 미국에서 배운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이는 시작전 성공할 수 있는가를 묻는 식"이라면서 "이런 생각에 고착된 항우연 출신이 우주청 수장을 맡는 것은 우리나라 우주개발 미래를 어둡게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젊은 우주인들은 우주기술 분야, 기관에 따른 파벌을 우려했다. 발사체, 위성, 우주탐사 등 분야별 협력보다 각자 우주개발에 뛰어들고 있다는 생각에서다. 그들은 "우주청 특별법에 이같은 내용이 반영돼 우주청이 부처, 기관, 연구자 간의 협력을 이끌고 초대 수장이 이런 부분을 아우르며 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